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사이시옷이 학문적 정체성과 규범의 내적 합리성 측면에서 견고하지 않다는 점에 주목하여, 이에 대한 개인적 문법 지식을 조사하여 사이시옷 규정에 관한 교육의 방향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온라인 가나다 게시물을 중심으로 사이시옷에 관한 개인적 문법 지식(IGK)을 조사하고 귀납적으로 유형화하였다. 그 결과, 사이시옷 규정의 구성 요소, 질문자가 규정에 대하여 취하는 관점, 개인적 문법 지식이 가지는 내적 합리성이라는 세 가지 기준이 도출되었다. 이에 따라 분류된 개인적 문법 지식 중 비판적 관점에 터한 중간 정도의 합리성을 지닌 지식들이 교육적으로 주목되었는데, 이들은 CGK가 CGK(학문)과 CGK(규범)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다층성을 인식하지 못하여 규범에 대한 경직적인 태도를 보였다. 따라서 IGK와 CGK(학문), CGK(규범)의 관계를 인식하도록 하여, 여러 지식들이 상호 작용하는 복합체로서 규범을 인지하는 교육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이에 의사 결정 모형을 활용하여 규범의 본질적 속성에 대한 교육을 사이시옷 규정을 중심으로 구안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그간의 규범 교육이 개인의 문법 지식을 간과한 채 규범에 대한 이해를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음을 반성하고, 개인들의 주관적인 지식인 IGK를 탐색하여 이를 바탕으로 규범 교육의 방향을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tried to suggest the direction of education regarding the regulation of ‘Sai-siot’ by examining individual grammatical knowledge about it, noting that it is not robust in terms of academic identity and internal rationality of norms. For this purpose, ‘Individual Grammatical Knowledge(IGK)’ about ‘Sai-siot’ was investigated and typified inductively, centering on ‘Online Ganada’ posts. As a result, three criteria were derived: the components of the ‘Sai-siot’ regulation, the questioner’s point of view on the regulation, and the internal rationality of IGK. Among the IGK classified according to this, knowledge with moderate rationality from a critical point of view was noted educationally, and they showed a rigid attitude towards the norms because they did not recognize the multi-layered CGK consisting of CGK(academic) and CGK(norm). Therefore, education that recognizes the relationship between IGK, CGK(academic) and CGK(norm), and recognizes norms as a complex in which various knowledge interacts was necessary. Therefore, by using the decision -making model, education on the essential properties of norms was devised and presented with a focus on the ‘Sai-siot’ regulations. This study reflects on the fact that normative education has been focused on understanding norms while overlooking individual grammatical knowledg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explored IGK, which is the subjective knowledge of individuals, and based it on the direction of normative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