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어느 39살 여자 체육과 임용시험 수험생의 불안에 관한 이야기를 통하여 임용 수험생의 삶을 이해하고자하는 내러티브 탐구이다. 본 연구의 현장텍스트(field text)는 면담자료, 관찰일지, SNS를 통한 대화 내용이다. 현장텍스트로부터 내러티브적 의미(narrative meaning)와 사회적 중요성(social significance)을 고려하여 삶의 불안, 임용시험과 불안, 그리고 존재적 삶이라는 3개의 주제로 임시적 텍스트(interim text)를 구성하였으며, 임시적 텍스트에 서론과 맺음말을붙여 연구텍스트(research text)를 작성하였다. 구체적으로, 서론에서는 김교사의 가장 큰 소망인 임용시험 합격을한(恨)으로 표현하였고, 삶의 불안에서는 30대 후반 현재 삶의 가장 큰 불안 요소로서 직장의 불안정을 제시하였으며, 임용시험과 불안에서는 임용시험을 준비하는 시기에 따른 불안을 회의 불안, 회피 불안, 압박 불안, 그리고 최고불안으로 이야기하였으며, 존재적 삶에서는 불안 극복의 내-외적 기제로서 사유, 초월, 교육자의 삶, 그리고 지지자를언급하였다. 마지막으로 맺음말에서는 김교사를 ‘존재자(das Seiende)’에서 ‘존재(das Sein)’로 변모시키는 불안 개념을소개하고, 불안과 더불어 존재적 삶을 사는 선생님을 이야기하였다.


To understand a test takers life, the current study is a narrative inquiry on the anxiety experienced by a woman in her late 30s who is preparing for the national teacher’s examination. The field text is comprised of conversations via interview, observation notes, and SNS and it composes the interim text containing worries for her life, test takers and anxiety, and her own being, depending on narrative meaning and social significance. The research text is completed with the introduction and the conclusion added to the interim text. In the introduction, her longing for passing the exam is described as “Han,” meaning sorrow caused by heavy suffering. In terms of worries for her life, job insecurity presented the greatest anxiety. Test takers and anxiety explains doubt, avoidance, pressure, and extreme anxiety in line with when the test will be. Her own being tells us that internal or external mechanisms of anxiety conquest are thinking, transcendence, the life as being a teacher, and supporters such as her family and colleagues. Lastly, the conclusion discusses how anxiety turns “das Seiende” into “das Sein” and the teacher who lives an existential life with anxie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