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교육 업무 담당 장학사와 특수교육지원센터 전문인력을 중심으로 특수교육지원센터 제도・인력・직무 관련 영역별 운영 측면에 초점을 맞추어 특수교육지원센터 관련 쟁점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개선 방안을 도출하고자 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특수교육을 전공한 특수교육 업무 담당 장학사 2명, 비전공 특수교육 업무 담당 장학사 3명, 특수교육지원센터 팀장 4명, 기간제 교사로 계약직 센터 전문인력 2명으로 총 11명과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특수교육지원센터 운영과 관련된 쟁점은 제도적・행정적 영역, 조직・인력 영역, 그리고 업무(직무) 영역별로 각 5가지씩 중분류로 크게 유목화되었으며, 각각의 영역별 쟁점에 대한 개선 방안으로서 의미 단위는 15가지로 도출되었다. 제도 및 행정 부분에서는 센터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직접지원 확대의 재고, 지역사회 자원 연계 및 활용을 위한 원스톱 지원으로의 전환,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사전 교육 및 연수가 제안되었고, 조직 및 인력에서는 신규인력 배치 문제, 특수교육지원센터장에 일반장학사 배치 문제, 행정주무관 배치의 당위성에 따른 조치, 팀장 중심 조직체계의 한계성 극복, 경력교사의 부재와 특수교육지원센터의 고립 해소방안이 제안되었다. 업무 영역으로는 업무분장의 효율화를 꾀하고, 팀장에 대한 직급을 부여하는 것도 필요하고, 전반적으로 행정업무 처리보다 특수교육 지원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점이 부각되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운영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investigating the issues of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focusing on its system, personnel, and duty and provide recommendation for improvement through school supervisors for special education and personnel of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perspectives. For this purpose, a total of 11 people: 2 school supervisors for special education, 3 school supervisors for general education, 4 team managers, 2 non-tenured track personnel of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were focus group interviewed. As a result, 5 upper categories were founded and 14 subcategories for improvements were suggested. In the system and administration part, the expansion of direct support not taking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the center was reconsidered, conversion to one-stop support for linking and utilizing local community resources, and prior education and training for stable and efficient operation were proposed. The issue of the assignment of new personnel, the assignment of general scholarships to th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head, measures according to the legitimacy of the assignment of administrative officers, overcoming the limitations of the team leader-centered organizational system, the absence of experienced teachers, and measures to resolve the isolation of th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were proposed. In the area of work, it was emphasized that it was necessary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division of duties, to assign a position to the team leader, and to focus on supporting special education rather than handling administrative work overall.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recommendations for improving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operations were provi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