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국어사전은 정확한 뜻풀이를 위해 오랜 시간 세심한 확인 과정을 거쳐 편찬한다. 방대한 어휘를 수록, 기술한 국어사전의 편찬 작업은 지난한 노력과 시간이 필요한 일이다. 이 연구에서는 국어사전의 ‘감꽃’과 ‘해장’의 뜻풀이를 살펴보고 그 의미를 명확히 하고자 하였다. ‘먹시, 먹감, 흑시’가 감과 감나무로 혼용되고 있다. ‘감또개’, ‘감똑’의 뜻풀이가 사전마다 다른 양상을 살펴보고, 방언에서의 쓰임과 비교하였다. 『표준국어대사전』, 『고려대한국어대사전』에서 ‘감또개, 감똑’을 ‘꽃과 함께 떨어진 어린 감’이라 하고 있다. 감 재배 지역에서 ‘감꽃과 함께 떨어진 어린 감’을 지칭하는 어휘는 없다. ‘감또개’는 ‘어린 감’이 아니라 ‘감꽃’이나 ‘감말랭이’를 가리키고, ‘감똑’은 ‘감꽃’과 ‘감 건조장’을 가리킨다. ‘감꽃’은 지역에 따라 서로 다른 어휘를 쓰고 있다. 곶감 건조장을 지역에 따라 ‘감덕’, ‘감똑’, ‘감독’이라 한다. 경상도에서는 ‘덕’을 ‘독’과 된소리 ‘똑’으로 발음한다. ‘해장’은 해정(解酲)에서, 해장국은 해정국(解酲-)에서, 해장술은 해정주(解酲酒)에서 유래하였다. ‘해장’의 사전뜻풀이에서 확인할 수 있는 의미는 [+국 종류의 음식 또는 술]과 [+술 해독]이다. 전북의 전 지역과 충남 부여시, 논산시, 경남 밀양시 지역어에서 ‘해장’이 [+음식]뿐만 아니라 [+식전(시간)]의 의미로 널리 쓰이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문학작품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해장’이 ‘식전 해뜨기 전’임을 알 수 있는 어휘가 ‘해장떡’이다. 남한강과 북한강이 만나는 경기도 양평군 두물머리에서 뱃사공들이 허기진 배를 채우던 떡이다. 서울 성동구 성수동 뚝섬에서는 이름이 ‘국말이떡’으로 변했다. ‘해장떡, 국말이떡’은 사전 표재어로 등재되어 있지 않다. ‘해장거리도 안 되는 녀석’에서 ‘해장’이 [+음식], [+식전], [+간단한] 중에서 [+간단한]에 의미의 중점을 두어 새로운 의미로 확장하는 예를 볼 수 있다. 충청도 방언에서 시간상으로 ‘해장 무렵, 식전, 새벽 즈음’ 의미로 ‘해장결, 해장어름, 해장가락’이 있다. 이 연구에서는 ‘감꽃’과 ‘감말랭이’의 ‘감또개’, ‘감 건조장’의 ‘감똑’, [+식전(새벽 시간)]의 ‘해장’의 뜻풀이 내용에 집중하여 논의를 하였다.


In Standard Korean Dictionary and Korea Korean Dictionary(고려대한국어대사전), Gamttogae(감또개) and Gamdok(감똑) are referred to as "young persimmons falling with flowers(감꽃과 함께 떨어진 어린 감)." There is no vocabulary to refer to "young persimmon that fell with persimmon flowers" in the persimmon cultivation area. "Gamttogae(감또개)" refers not to "young persimmon" but to "gamkkot(감꽃)" or "gammalaengi(감말랭이)." "Gamttok(감똑)" refers to "Gamkkot(감꽃)" and "Gamdryjang(감 건조장)". The dried persimmon drying plant is called "Gamdeok(감덕)" and "Gamttok(감똑), Gamdok(감독)". In Gyeongsang-do, 'deok(덕)' is pronounced as 'dok(독)' and 'dott(똑)' of the fortis(된소리). Haejang(해장) is a "drink a little with haejangguk(해장국) to relieve the alcohol from the previous day." The meanings that can be found in the dictionary's interpretation of the meaning of Haejang(해장) are [+Korean food(국 종류 음식) or alcohol] and [+alcohol detoxification(술 해독)]. The vocabulary that shows that "Haejang(해장)" is "before the sunrise before the meals" is "Haejangtteok(해장떡)." Today, Haejang(해장) is used, but Haejeong(해정) is seen first in the literature. Haejeong(해정) and Haejeongsul(해정술) can be seen in the data of Andong-si(안동시) and Yeongdeok-gun(영덕군), Gyeongsangbuk-do, which were recorded in 1980-81 An Outline of Korean Oral Literature (한국구비문학대계). In dialects, "Haejang(해장)" is widely used not only as [+food] but also as [+before the sunrise before the meals(time)(식전)]. "Haejang(해장)", which means "before the sunrise before the meals(식전)" is used not only in Jeollabuk-do but also nationwide. This phenomenon can also be confirmed in literary wor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