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2022년 9월 중순 이후 지난 수개월간 이란에서는 반히잡 시위에서 촉발된 반정부 시위가 지속되고 있다. 여성들은 정부의 히잡 강제 착용법에 반대하며 ‘여성, 삶, 자유(Women, Life, Freedom)’이라는 구호를 외치고 여기에 남성들도 여성들을 지지하며 시위에 동참하고 있다. SNS를 통해 다른 나라 여성들의 지지도 이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이번 시위의 발단이 되었던 여성의 머리카락에 주목하였다. 머리카락은 지극히 사적인 인체의 구성물이다. 그러나 성성을 상징하는 대표적인 구성물로 문화적 맥락에 따라 드러내기도 또는 가려지기도 한다. 1979년 이란 이슬람 공화국 설립 이후 이슬람 정권은 통치 정당성을 확보하고 서로 다른 정체성을 지닌 국민들을 통합시키기 위해 이슬람에 기반한 ‘종교 민족주의(Religious Nationalism)’ 담론을 강화해 왔으며, 여기에서 여성의 머리카락은 사회통제의 도구로 활용되어 왔다. 정치적 도구가 된 히잡은 이제 미국과 이스라엘 배후설 속에서 안보화 문제로 확대하고 있으며, 따라서 체제의 운명과 동일시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란 여성을 통제하기 위해 성성(머리카락)과 종교성(히잡), 그리고 국가 가부장제 권력과 민족주의(정치화와 안보)가 다양한 층위에서 어떻게 서로 유기적으로 작동하는지 상관관계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그동안 크게 주목받지 못했던 문화적 구성물인 체모와 성성을 이슬람 가부장제도의 관점에서 소개하며, 히잡을 종교 국가주의 틀에서 해석하여 히잡에 대한 담론에 새로운 사례연구를 추가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Since mid-September in 2022, anti-government protest sparked by anti-hijab protest have continued in Iran. Iranian women opposed the government’s compulsory hijab law with the slogan “Women, Life, Freedom”, and the scale of the protest mushroomed with participation of Iranian men and women in other countries through SNS. This study considered the less explored question of “why does women’s hair matter,” which triggered the current protest. Hair is a private component of the human body. However, it is revealed or hidden depending on the socio-cultural context, symbolizing women’s sexuality.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Islamic Republic of Iran in 1979, the Islamic regime has strengthened religious nationalism, and hijab has become a political tool. And now, it is even expanding into a security issue of the regime, as the government pinpointed the US and Israel as being the behind the protest.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relation between women’s hair and politicized hijab within the discourse of religious nationalism, which control Iranian women at various level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nalyzes hair and sexualit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Islamic public patriarchal system and add a new case study to the discourse on hijab by interpreting it from the discourse of religious nationalis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