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국내 고등학교 1학년 학생 117명을 대상으로 비대면 영어 수업 환경에서의 학습만족도를 학업 성취도를 기준으로 중·상위권과 하위권 두 집단으로 나누어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대면 수업과 비교한 비대면영어 수업의 효율성, 비대면 영어 수업에 참여하면서 학습자들이 느꼈던 좋았던 점과 어려웠던 점, 학습자들이 느끼는 학업 격차의 존재 유무와 같은 일반적인 인식 조사도 함께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온라인 설문조사를실시하였고, 설문조사에서 파악하기 힘들었던 내용들은 심층 서면 인터뷰를 통하여 보다 구체적인 답변들을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학습자들은 학업 성취도가 높을수록 대체로 비대면 영어 수업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갖고 있었다. 학습만족도 하위 요인들 중에서 자발적 학습 동기 및 자기주도성 항목에서만 두 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차이가 존재했으며, 학습 내용 및 구성, 수업 운영 및 학습 지원, 정서적 안정도에 있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차이가 없었다. 학습자들은 대체로 비대면 영어 수업이 대면 영어 수업보다 효과적이지 않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자기 주도적 학습의 어려움 외에도 집중력 저하 문제, 상호작용 부족과 같은 어려움이 존재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비대면 수업에서 학습자들의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을 향상시키고, 집중력 저하문제 및 상호작용 활성화를 위한 해결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compared the academic satisfaction in non‐face‐to‐face English classes between two groups of Korean high school students with different English proficiency levels (i.e., upper-intermediate vs. low). For this purpose, an online survey on four aspects (i.e., self-directed learning and motivation, learning contents and organization, class operation and learning support, and learners’ emotional stability) was conducted to 117 Korean high school students. In addition, more detailed information about difficulties in non‐face‐to‐face classes was collected from seven students through written in-depth interviews.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in general, the students with the upper-intermediate proficiency level showed more positive perception than those with the low proficiency level. Specifically, among the four aspects, the self-directed learning and motivation factor reveal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of learners.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other three aspects. Furthermore, the participants’ responses in the survey and interviews indicated that difficulties of self-directed learning, the decline of concentration, and the lack of interaction need to be improved in non‐face‐to‐ face English classes. Pedagogical implications are suggested in order to increase learners’ active participation and develop self-directed lear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