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공무원이 적극적으로 공직 업무를 수행하도록 동기를 부여하는 것은 무엇일까? 기존의 연구들은 공무원이 시민과 사회의 안정과 발전을 위해 자발적으로 공적영역에서 봉사하고자 하는 의지를 공공봉사동기(Public Service Motivation; PSM)라고 정의한다. 일반적으로 조직 내 개별구성원들을 지도하며 조언하는 변혁적 리더십이 비용 및 효과의 거래로 수행되는 거래적 리더십에 비해 공공봉사동기(PSM)를 촉진한다는 주장이 지배적이다. 하지만 위계적 조직문화의 특성을 온존하고 있는 한국 공무원 사회에서, 공급자인 리더가 어떠한 유형의 리더십을 제공하느냐 뿐 아니라, 그것이 과연 수요자인 구성원들에게 제대로 전달되고 있느냐가 구성원들의 공공봉사동기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기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리더십과 협업 및 의사소통이 상호작용을 하여 공공봉사동기(PSM)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기대한다. 본 연구에서는 공직생활실태 데이터(2020)를 활용하여, 공공봉사동기(PSM), 리더십, 그리고 조직 내 협업과 의사소통 정도 간의 관계를 경험적으로 분석한다.


What motivates public employees to carry out public services more likely? Existing literature defines Public Service Motivation (PSM), which makes public employees willing to serve citizens and society's stability and development voluntarily. In general, most scholars argue that transformational leadership, which directs and advises each of the members of an organization, promotes the PSM, whereas transactional leadership does not since it is conducted as the trade of cost and effectiveness. However, we can expect that the type of leadership provided by the leader (suppliers) in the public sector will impact the PSM of members with hierarchical culture in Korean public organizations (consumers). Therefore, this study argues that leadership affects the PSM, interacting with collaboration and communication in public sector. We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PSM, leadership, and communication within the organization, utilizing the Public Employee Perception Survey Data of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