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선거보도의 역동성을 탐구한다. 선거 시기 매체가 언제 어떠한 기사를 생산하는가는 언론의 기사 생산을 이해하기 위해 중요할 뿐만 아니라 유권자들의 정치 행태를 파악하기 위해서도 중요하다. 선거보도는 매체와 후보자 및 정당의 전략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대상이다. 매체는 때로는 정책에 집중하여 기사를 생산하기도 하고 경쟁과 전략에 초점을 두고 선거를 보도하기도 한다. 이 논문은 매체의 보도 행태가 역동적이라고 주장한다. 예를 들어, 선거 기간 중 시간에 따라 정책기사량은 감소하며, 전략기사는 증가하는 양상을 보일 것이다. 더 나아가, 정책기사 비중은 방송과 신문 매체에서 서로 다른 양상을 보일 것이다. 이 주장들을 검증하기 위해 이 연구는 2020년 국회의원선거 시기 선거기사를 정책과 전략기사로 구분한 후 일별 시계열 자료를 구축하여 분석한다. 이 논문의 구조적 분절 분석 결과와 시계열분석 결과들은 이 연구의 주장을 부분적으로 뒷받침한다.


This study examines dynamics in election news making.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when and how news media produce election news in order to grasp news making and voting behavior. The news media sometimes make election news by focusing on issues and policies. Often they frame elections as a game and focus on election strategies while covering elections. This article argues that as time goes by during the election period, the number of policy news tends to decrease while the frequency of strategic news is likely to increase. Also, TV’s and newspapers show distinctive patterns of election news making. In order to examine the arguments, this study categorizes election news stories into policy and strategic news stories produced during the 2020 Korean congressional elections and constructs daily time-series data of them. The results of structural break and regression analyses partially support the argu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