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손창섭 소설에 등장하는 인물들이 ‘반복’하는 결혼 거부의 의미를 추적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 의미를 추적하기 위해 특히 관심을 기울이고자 하는 것은 두 가지이다. 하나는 손창섭 소설에 나타난 결혼 거부의 의미를 통시적으로 고찰하여 그 의미를 밝히는 일이다. 다른 하나는 등장인물들이 결혼을 거부하는 가운데 명시적으로 드러내는 것은 무엇이고, 반면 의식적으로든 무의식적으로든 감추고자 하는 것은 무엇인지를 보는 것이다. 1950년대 초중반 손창섭의 소설에서는 표면적으로, 혹은 숨겨진 형태로 결혼 거부와 관련된 의미들이 쉽게 설명되기 어려운 욕망들과 행위로 드러난다. 결혼 거부 문제가 표면적으로 텍스트에 드러날 때 그것은 등장인물들의 세계에 대한 무관심·무력감 등과 관련되고, 때로는 제도에 대한 거부, 현실적인 생활의 어려움 등과 연결되기도 한다. 이렇게 텍스트에 표면적으로 드러나는 것 말고, 감추어진 형태로 결혼 거부의 의미가 표현되기도 한다. 이는 등장인물들이 숨기고 있는 내재된 욕망의 형태로, 계급성의 문제로, 자기 안전 욕구의 문제 등으로 복잡하게 드러난다. 1950년대 말과 1960년대 초 결혼 거부와 관련된 작품들을 보면 이전까지와는 다른 변화가 감지된다. 그것은 결혼 거부의 문제를 그것이 가능하지 않음에도 단일한 이론으로 설명하려는 시도이다. <잡초의 의지>와 <낙서족>에서 발견되는 이러한 시도는 <신의 희작>에 이르면 ‘정신분석학적 환원’이라는 형태로 보다 분명하게 드러난다. <신의 희작>에서는 현실 질서에 균열을 가하는 수많은 욕망들이 작가 혹은 서술자의 ‘이론적 환원’을 통해 ‘설명 가능한’, ‘위험하지 않은’ 것들로 봉합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글은 손창섭 소설에 드러나는 결혼 거부의 의미를 통시적으로 고찰하면서, 그 의미를 텍스트에 표면적으로 드러난 것에 한정 짓지 않고 감추어진 것의 의미까지 도출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또한 <신의 희작> 시기에 이르러 이전까지와는 다른 방식으로 결혼 거부가 이야기되는 변화의 지점에 주목함으로써 손창섭 소설의 불연속성과 연속성을 함께 사유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였다는 점에서도 의미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trace the meaning of marriage refusal that the characters in Son Chang-seop’s novels ‘repeat’. There are two things we want to pay special attention to to track this meaning. One is to diachronically examine the meaning of marriage refusal in Son Chang-seop’s novel and reveal its meaning. The other is to see what the characters explicitly reveal in their refusal to marry, while what they consciously or unconsciously try to hide. In Son Chang-seop’s novels in the early to mid-1950s, the meanings related to refusal to marry, either superficially or in a hidden form, are revealed as desires and actions that are difficult to explain. When the problem of refusal to marry is superficially revealed in the text, it is related to the characters’ indifference and helplessness to the world, and sometimes it is also linked to the rejection of institutions and difficulties in real life. The meaning of refusal to marry is expressed in a hidden form, not just what is revealed superficially in the text. This is in the form of the inherent desires hidden by the characters, and it is complicatedly revealed as a problem of class, and the problem of self-security needs. Looking at the works related to the refusal of marriage in the late 1950s and early 1960s, a different change is detected from before. It is an attempt to explain the problem of marriage refusal with a single theory, even though it is not possible. These attempts, found in The Will of Weeds and Scribblers, are more clearly revealed in the form of ‘psychoanalytic reduction’ when it comes to God’s Funny Works. In God’s Funny Works,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numerous desires that create a crack in the real order are sutured into things that are ‘explainable’ and ‘not dangerous’ through the ‘theoretical reduction’ of the writer or narrator. This article is significant in that it diachronically examines the meaning of marriage refusal revealed in Son Chang-seop’s novel, and draws the meaning of what is hidden without limiting the meaning to what is superficially revealed in the text. It is also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d an opportunity to consider the discontinuity and continuity of Son Chang-seop’s novel by paying attention to the point of change in which marriage refusal is talked about in a different way than before in the period of God’s Funny Wor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