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김현 시 비평의 고유한 방법론 및 그 구체적 양상을 살피는데 목적이 있다. 『한국문학의 위상』을 통해 자신의 문학론을 정립한 그는 텍스트 분석에 요구되는 방법론을 구체화하게 된다. 『한국문학의 위상』을 전후로 시 비평에 나타나는 변화 양상에 주목해야 하는 것은 이 때문이다. 본고는 당대의 시와 시인을 대상으로 한 김현의 실제비평의 방법론적 특징을 유형화하고 그러한 특징 간의 내적 연관성을 밝히고자 한다. 김현의 시 비평은 시인의 상상 세계를 이루는 기원을 고찰하는 데서 이미지의 형태적 변용 및 텍스트의 구조를 분석하는 방향으로 진화된다. 전자는 작품에 내재된 원초적 경험의 형상과 그것의 시적 변용을 탐색하는 것을 주된 방법론으로 삼는다. 하지만 작가의 사실과 작품의 진실이 동일시되었을 때의 오류를 체험하면서 문학적 진실에 대한 그의 사유는 점차 심화된다. 이 과정에서 후자가 비평의 주된 과제로 인식된다. 『한국문학의 위상』에서 작가와 세계의 전이성적 관계, 원초적 세계체험의 의의, 세계관과 진실내용 등이 주의 깊게 다루어진 것은 우연이 아니다. 특히 ‘내용형식’으로서의 형태 개념의 정립은 비평의 방법을 다양화하는 이론적 토대가 된다. 시적 이미지의 형태 분석과 언어의 통사적 기능에 대한 재고, 이를 텍스트의 무의식과 연결지어 통합하는 방식은 형태와 구조의 관계를 재인식함으로써 정교화된다. 작가와 작품의 관계를 상동적인 것으로 파악하는 구조주의적 관점의 수용 또한 방법론을 공고히 하는 계기가 된다. 텍스트 비평으로의 이러한 전환은 대위법의 탐색이 시 비평의 방법으로 자리하면서 더욱 뚜렷해진다. 김현은 작품의 심층적 구도인 이미지의 교차와 반복, 그에 따른 의미들의 대립항을 대위법이라 명명한다. 그리고 이러한 대립 관계의 모순적 통합이 내적 구조로 발견될 때, 그것의 의미작용의 분석을 비평의 가장 중요한 과제로 의식한다. 모순적 구조로서의 대위법은 시인에 의해 의도된 것이 아니라 텍스트의 분석 과정에서 발견되는 것이라는 점에서 이를 방법화한 김현의 시 비평은 모순의 발견술이라 할 수 있다. 텍스트에 내재된 대립관계의 모순성을 날카롭게 통찰한 그는 그러한 모순성을 세계와 자아의 근원적 균열을 가리키는 징표로 인식하였고, 그에 따라 대위법의 구조적 탐색을 시인에 의해 의식되지 않는 세계관과 작품의 진실내용을 파악하는 최선의 기술로 활용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unique methodology in Kim Hyun’s poetry criticism. He establishes his literary theory while writing the status of Korean literature and embodies the methodology for text analysis based on it. For this reason, the changes that occur after the status of Korean literature should be noted. This study typifies the methodology of his criticism of poetry and poets of the time and reveals the connection between those typified. Kim Hyun’s poetry criticism evolved from examining the poet’s imaginary world and its origins to analyzing the variations in poetic imagery and the structure of text. The former methodology is to explore the primitive experiences inherent in the work and its poetic variations. The former methodology i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imitive experiences inherent in the work and its poetic variations. However, his perception grows deeper and deeper as he realizes that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facts told by the author and the truth shown by the work. This results in the latter being recognized as an important task for criticism. In the status of Korean literature, it is no coincidence that the writer’s relationship with the world, the importance of the primitive experience, and the writer's view of the world are explained. In particular, the establishment of the concept of form serves as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diversifying the methods of criticism. His methodology becomes more sophisticated as the relationship between form and structure is re-recognize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uthor and the work is understood to be homologous. This transition to textualism becomes more pronounced as the analysis of the counterpoint becomes the method of poetry criticism. He refers to the contrast between poetic images and the repetition of such contrasts as counterpoint. When conflicting things in poetry are found to be contradictoryly integrated, he recognizes analyzing them as the most important task of criticism. The counterpoint, as an in-depth structure of the poetry is not a technique intended by the author, but it is found during the analysis of text. His poetry criticism, which uses analysis and search of this as a method of criticism, can be called the art of discovering contradi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