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e-포트폴리오를 통해 누적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대학생활의 적응과 지속성에 영향을 미치는 대학 경험을 분석함으로써 학년별 대학 경험의 차이와 학적(재학, 제적)에 따른 대학 경험의 차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대학 경험은 성적, 수업활동, 수업결과물, 수업 외 활동(동아리, 봉사, 수상, 자격증, 인턴십 등)이며, 대학생활 적응과 학업 성과 등 대학생활 전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실제 데이터를 통해 학년과 학적에 따라 대학 경험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SPSS를 활용하여 일원배치 분산분석과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학년에 따라 대학 경험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1학년의 경우 교내 비교과 활동을 가장 많이 하며, 2학년과 3학년은 성과 위주의 수상, 어학시험 등의 활동을 많이 하였다. 4학년은 졸업과 취업 준비를 하면서 봉사활동, 동아리와 같은 사회적 활동을 지속하였다. 재학생과 중도탈락생(제적) 간에도 학년별 대학 경험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특히, 1학년의 경우 자기진단, 봉사활동, 학생회, 수상경력, 어학시험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학년에 따른 대학 경험에 대해 지원의 방법과 범위에 대한 자료로 활용하고, 대학 경험을 촉진하기 위한 가이드로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지속적인 데이터 분석을 통해 재학생의 참여 현황에 따라 참여를 독려하고 동기와 만족도 등을 높일 수 있는 적극적인 지원이 이어질 것으로 기대되며, 중도탈락 위기에 있는 학생의 대학 경험 촉진을 위한 e-포트폴리오의 활용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differences in university experience using accumulated data of e-portfolio to analyze university experiences that affect the adaptation and continuity of university life. University experiences could include grades, class activities, class outcomes, extracurricular activities (club activities, volunteer activities, awards, certificates, internships, and etc.), and are known to have a positive impacts on university life adaptation and academic performance. To find out what the difference in academic standings and enrollment status, one-way ANOVA and independent sample t-test were conducted using SPSS.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university experience were found to have statistical difference depending on the academic standings. In the case of freshmen, extracurricular activities were most common. Sophomores and juniors participated more in activities such as performance awards and language tests. Seniors were more into social activities such as volunteer and club activities. University experience between enrolled and dropout students were also found. In particula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lf-diagnosis, volunteer activities, student association participation, awards winning, and taking language tests for freshmen. Through this study, the differences in university experience depending on academic standings were confirmed. The use of e-portfolio to promote university experience for at-risk students is sugge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