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북한이탈주민 여성들이 경험하는 다양한 차원의 사회적 배제 실태를 탐색하고, 이들의 사회적배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 인천, 경기 지역에 거주하는 만 19세 이상 북한이탈주민여성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였으며, 최종 모형에는 155명의 북한이탈주민 여성이포함되었다. 본 연구는 남한사회 정착 이전 요인과 남한사회 정착 이후 요인이 사회적 배제에 미치는 영향을 전체 사회적배제 및 사회적 배제의 4가지 하위차원(사회적교류, 정치적관여, 생산활동, 소비활동)으로 나누어 다중회귀분석을 통해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한사회 정착 이후 요인 중 기초생활수급 및 차상위계층 여부, 자기은폐성이 전체 사회적 배제 수준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북한학력, 남한정규교육 유무, 자기은폐성이 사회적 배제의 하위 차원인 사회적 교류의 배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취업 유무, 기초생활수급 및 차상위계층 여부가 생산 활동의 배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외상경험이 소비 활동의 배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정치적 관여의 배제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직업훈련 프로그램 활성화 및고용지원금과 취업장려금 확대를 통한 경제적 자립 지원 등을 사회복지 정책적, 실천적 개입방안으로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levels of social exclusion among North Korean refugee women and to analyze risk factors of various types of social exclusion. Data were collected from adult North Korean refugee women (19 or older) residing in Seoul, Incheon, and Gyeonggi areas using a snowball sampling method. The final model included 155 North Korean refugee women. Social exclusion was regressed on pre-resettlement (e.g., duration in the intermediate countries, trauma exposure, educational attainment in North Korea) and post-resettlement risk factors (e.g., employment status, marital status, social stigma, self-concealment, public assistance, duration in South Korea). We first analyzed the overall social exclusion (sum of scores) then separately analyzed each of the four dimensions of social exclusion: exclusion from social exchange (1), production activities (2), consumption activities (3), and political involvement (4). The results showed that self-concealment and public assistance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overall social exclusion. When separately analyzed by dimensions, educational attainment, and self-concealment were associated with the exclusion of social exchange. Employment status and public assistance were associated with the exclusion from production activities. In addition, trauma exposure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exclusion from consumption activities.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risk factors for the exclusion from political involvement. Findings from this study suggested social welfare policy and practice should focus on enhancing economic self-reliance to prevent social exclusion among North Korean refugee wom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