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수사학은 흔히 상대방을 설득하는 말과 언어의 기술로 그동안 알려져 왔다. 수사학을 말과 언어의 기술로 보는 것은 상당 부분 소피스트의 영향 때문이다. 그러나 수사학을 단순히 말과 언어 기술로 보아도 좋은가? 이 논문은 이 질문에 대해 대답하기 위한 시도이다. 아닌 게 아니라, 희랍 시대부터 수사학이 테크네(technē)인가하는 문제는 지식인들 사이에 중요한 질문 중의 하나로 제기되어 왔다. 이소크라테스는 수사학이 단순히 말과 언어에 관한 기술이라기보다는 좋은 삶을 살아가는 데 요구되는 실천적 지혜(phronēsis)로 보아야 한다는 입장을 취하고 있는 듯이 보인다. 이소크라테스의 수사학은 실제 삶에서 사태를 올바르게 이해하고 문제해결이 가능한 올바른 의견 혹은 마음을 함양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하여 수사학 교육은 단순히 말과 언어 기술을 가르치거나 테크닉의 적용을 넘어서, 말과 언어를 통해 올바른 마음의 형성을 추구하고 삶에서 실천적 지혜를 기를 수 있도록 하는 방향성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Rhetoric is the study of speech and language that emerged as a result of the development of democracy in Athens, Greece. Especially, rhetoric was rapidly developed in the fifth century B. C., by Sophists who taught wanting to be a politician young Athenian peopl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iscuss the possibility of rhetoric as phronēsis. To this end, firstly, we critically examine Sophists' conception of rhetoric. Secondly, we explore Isocrates' view of rhetoric. Finally, we suggest som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 nature of rhetoric as phronēsis. For Sophists, rhetoric has been regarded as technē, a language skill to persuade each other. However, is rhetoric merely technē? This paper attempts to answer this question. Isocrates seems to see rhetoric as phronēsis in terms of cultivating the sound opinion(doxa) or mind capable of correctly understanding situations and solving problems in life, beyond acquiring a skill of speech. Therefore, rhetoric education is meaningful in that it goes beyond simply teaching speech and language skills, and suggests a direction to pursue the formation of a sound mind which is related to the cultivation of phronēsis in life by speech and writ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