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근로자들이 왜 주어진 연차휴가를 사용하지 못하는지’에 대한 원인을 제도적 차원과 조직문화 차원을 함께 고려하여 살펴보았다. 특히, 연차휴가 미사용에 대한 보상적 성격의 연차수당제도와 조직 내 다양한 휴가 사용 유인제도가 혼재하는 현실을 고려하여 이들 제도가 휴가 미사용일 수에 미치는 상호작용 효과에 주목하였다. 「2018 근로자 휴가실태조사」자료를 활용해 분석한 결과 제도적 차원에서 보상적 성격으로 도입된 연차수당제도가 휴가 사용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한편, 휴가사용을 촉진시키기 위한 다양한 휴가사용제도 도입은 휴가 미사용일 수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목할 점은 휴가 사용을 장려하는 휴가제도의 다각화가 연차미사용 수당의 선호에 의한 휴가 미사용 행태를 상쇄하는 것으로 나타난 점이다. 조직문화 차원에서는 인력지원과 휴가보장의 조직문화는 휴가 미사용일 수를 증가시켰으며, 휴가사용 자율성 조직문화는 유의미 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분석결과에 대한 해석과 이론적 함의 그리고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Employees in Korea are entitled to paid annual leave, however, they are the most annual leave-deprived country in the world. They take fewer days of annual leave than the amount they receive in a year. This study provides two institutional and cultural factors about the behavior of those not taking their annual leave. It is suggested that conflict institutional contexts as a leave allowance and vacation policies and organizational culture dimensions; organizational support, detachment from work, and autonomy. Using the Employee’s Vacation Survey in 2018, the results show that employees who get the leave allowance significantly increase under-utilization behavior due to compensation for their wages. Next, the increase of vacation policy significantly decreases the behavior while organizational culture does not decrease the behavior. Furthermore, this research introduces interactions between leave allowance and vacation policies to estimate the effect of various policies on the behavior. Findings show that employees who get the leave allowance reduce under-utilization behavior with the increase of vacation policy. Based on the empirical evidence, this paper explains the provision-utilization gap in paid annual leave and suggests that policy makers need to consider the availability of vacation poli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