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디자인전공 전문대학생이 인식하는 학업요구, 자원, 결과 요인을 탐색적으로 도출하고 이들 변인이 학업소진 및 열의와 직무요구-자원 모형에 입각한 구조적 관계를 가지고있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연구 1에서는 K 전문대학 디자인전공 학생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통해 학업요구, 자원 및 결과 요인을 선별하였으며, 요구 요인으로서 학업문제, 장래문제, 시간압박감을, 자원 요인으로서 사회적 지지를, 결과 요인으로서 결과기대와 과제가치를 도출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연구 2에서는 새롭게 디자인전공 전문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자료를 수집하여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학업요구는 학업소진에 정적영향을, 학업자원은 학업열의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학업자원이 학업소진을 경감시키는 완충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한편, 학업요구는 학업소진을 매개하여 결과기대를 하락시켰으며, 학업자원은 학업열의를 매개하여 과제가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줌으로써 직무요구-자원모형의 이중 과정(dual process)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이론적, 실무적 함의, 제한점 및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하였다.


This study aimed was to investigate the factors of academic demands, resources, and outcomes among design major college students and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 between those factors and academic burnout and engagement, applying the Job Demands-Resources model. In the study 1, 188 design major college students answered a preliminary open-question survey to identify academic demands, resources, and outcomes. In study 2, 308 design major college students completed a questionnaire that measured the factors identified in Study 1. The results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indicated that the dual process of the Job Demands-Resources model was applicable to Korean design major college students. However, the buffering effect of academic resources on burnout was not significant. The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discussed based on the findin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