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주류' 아카이브 연구에서 아직은 크게 주목하지 않고 있는, 국 내외 예술계를 중심으로 부상하는 새로운 아카이브 '열병'과 '충동'의 경향을 어떻게 주류 기록학계에서 바라보고 이를 주체적으로 수용할 것인지에 대한 시론적 글의 성격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이 글은 몇 가지 국내 아카이브 아트의 최근 경향성에 대한 관찰을 통해서 어떻게 아카이브 아트가 미학적 태도와 방식을 갖고 역사와 기억에 관여하고 있는지, 그리고 예술계 내부 '아카이브 충동' 현상이 '기록학계' 연구 경향에 어떤 시사점이나 영향력을 미칠 수 있는 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구체적인 해외 사례, 즉 미국의 한 공공 기록관의 아카이브 체계 내에서 아카이브 충동을 재해석하고 적극적으로 수용하려는 의미 있는 움직임을 살피고자 한다. 이에 이어서, 아직 구체적 아카이브 방법의 조직화 수준에 이르지는 않았으나 국내 예술계에서 산발적으로 시도되는 아카이브를 매개하여 이뤄지는 창 작 작업의 특징과 성격을 탐색하는 작업을 시도한다. 이른바 '아카이브 아티스트'들이 기존의 기록학계에서 관찰되지 않는 방식으로 어떻게 기록되지 않은 것을 기록하고, 배제된 역사를 어떻게 미학적 언어로 소환해 풀어 내는지를 살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아카이브 아트'라는 이 새로운 예술 경향으로부터, 전통의 역사적 기록을 보관박스에서 끄집어내 동시대 적 정서 구조 안에서 살아있는 아카이브로 재해석할 수 있는 가능성을 타진한다.


The article has the characteristics of a preliminary writing about how to look at the trend of new archives 'fever' and 'impulsion' emerging around the domestic and foreign art world, which have not been paid much attention yet in the 'mainstream' archive research, and how to accept it independently. Specifically,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archival art is involved in history and memory with aesthetic attitudes and methods through observation of recent tendency of domestic archive art, and what implications or influence the 'archival impulse' phenomenon in the art world can have on the research trend of 'archival studies.' First, I would like to look at the meaningful movement to reinterpret and actively accept archival impulses in concrete overseas cases, that is, the archive system of a public archive in the United States. This is followed by an attempt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and characteristics of creative works that are carried out through the medium of archives, that has not yet reached the level of organization of specific archive methods but are sporadically attempted in the domestic art world. It examines how so-called 'archive artists' record unrecorded in a way that is not observed in the existing archival world, and how they summon and include excluded history in aesthetic language. In conclusion, this study explores the possibility of pulling the historical records of tradition out from archival boxes and reinterpreting them as living archives within the contemporary emotional structure from this new artistic trend called 'archival a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