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경상도의 전통적 행정, 상업 중심지였던 大邱는 개항과 일제강점기를 거치며 사회경제적 위상의 큰 변화를 겪게 되었다. 일본인들의 이주와 정착으로 강고한 일본인 사회가 형성되기 시작했으며, 상업적 측면에서도 근대적 교통망의 구비와 대일무역의 확대로 인해 수치상 큰 성장을 이루었다. 대구의 일본인들은 조선총독부의 지원과 막강한 자본력을 바탕으로 지역 상권을 장악하였고, 지역 사회의 경제적 상층부를 차지하였다. 여기에 소수의 상층 조선인 지주, 상공업자들이 참여하여 상업 회의소라는 지역의 경제 기구가 설립되었다. 상업회의소의 동향은 지역 사회, 지역 경제와 뗄 수 없는 관계를 맺고 있었다. 사안에 따라 연대, 갈등하는 상업회의소 구성원들의 모습은 당시 지역사회의 복합적이고 중층적인 모습을 반영하고 있다. 사안에 따라 조선총독부 에 ‘우리 지역’ 위주의 정책을 청원하는 모습은 기존 지배자로서의 단일한 권력집단으로 비쳤던 재조일본인 사회를 다면적, 다층적으로 파악하는 것이 보다 실제에 가깝다는 의견에 힘을 실어준다. 기존의 민족 간 지배와 저항의 구도로만 설명해 왔던 일제강점기를 연대, 경쟁, 암묵적 동조 같은 보다 다양한 관점과 시각에서 구체적으로 재검토해야 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일제강점기 조선이라는 공간에서 지역 발전을 둘러싼 조선총독부, 지역사회, 지역 상업회의소라는 세 주체의 관계가 균형을 이루고 있는 것은 아니었다. 민족 모순이 완전히 탈각된 연대는 현실적으로 성립할 수 없다. 근대적 교통망의 확충, 대일무역으로 인한 성장 등 대구의 외면적 변화가 이 시기에 이루어졌지만, 이러한 변화는 민족별 격차를 벌리는 중요한 조건이기도 했다. 대구상업회의소의 회원자격 강화로 탈락된 많은 조선인 상공업자들이 조선인 경제의 발전을 위해 대구상공협회를 결성하여 대구상업회의소에 대립했다는 사실은 지역 또는 업종 등의 이해관계로 인한 연대가 일제강점 하에서 언제든지 민족 간 대립으로 대체될 수 있는 불안정한 것이었음을 의미했다.


Upon opening the port, Japanese merchants and industrialists who moved to Daegu has pillaged traditionally Koreans’ business district and placed themselves at the top of regional economy. During this process, both Japanese and Korean merchants established chambers of commerce. Such separate chamber of commerce was integrated in 1915. The integrated Daegu Chamber of Commerce was discriminatory both in terms of its members and operation. The regional Chamber of Commerce represented the local community and conducted petition movements to pressure municipal governments and the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to implement certain policies. The chamber of commerce was the pivot of active petition movement to construct railways to support local development and growth, and to do so, they worked together regardless of nationality and industries to pressurize the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Also, when public opinion surged regarding electric service municipalization, they showed division and conflicts due to the clash of interests between industries. As such, the chamber of commerce, which showed solidarity at times and conflict at other times based on the nature of issues, reflects the complex and multi-layered local community at the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