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유영화 교수의 은 명나라와 청나라 시대 유가의 예의 실천을 연구하는 중요한 저작이다.이 책은 명초부터 1949년까지의 민서사보 지역을 중심으로 현지의 풍부한 문서 자료, 구술 사료, 의식 공연을 이용하여 명나라와 청나라 시대의 유가 예절이 어떻게 농촌에 들어가 민중 생활에 융합되었는지 연구한다.이 책은 풀뿌리 문화 엘리트의 측면에서 예생과 예의를 기점으로 유가 예의가 농촌에서 전파되고 그 영향을 고찰하며 많은 새로운 견해를 제시했다.저자는 민간 문화는 그 자체의 논리와 생존 공간을 가지고 유가 예절이 농촌으로 내려가는 과정은 유가 예절이 민간 예속을 대체하는'국가 통합'과정이 아니라 유가 예절이 전환되고 개조되고 이용되는'문화 합성'과정이라고 주장한다.


Professor Liu Yonghua's "etiquette to the countryside: Etiquette reform and social transformation of the Si Bao in Western Fujian since the Ming Dynasty" is an important work to study the Confucian etiquette practice in the Ming and Qing Dynasties. Focusing on the four guarantees area in Western Fujian from the early Ming Dynasty to 1949, the book uses the rich local archives, oral historical materials and ritual performances to explore how Confucian etiquette entered the countryside and integrated into people's life in the Ming and Qing Dynasties. From the perspective of grass-roots cultural elites, the book examines the spread and influence of Confucian etiquette in rural areas, and puts forward many new ideas. The author believes that folk culture has its own logic and living space. The process of Confucian etiquette going to the countryside is not a "national integration" process in which Confucian etiquette replaces folk etiquette, but a "cultural synthesis" process in which Confucian etiquette is transformed, transformed and utilized.


키워드열기/닫기 버튼

Confucian rites, the Si Bao in Western Fujian, folk rites, cultural synthesis

유가 예절, 민서 사보, 민간 의식, 문화 합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