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에서는 학교문법에서 이루어진 관형사절의 체계에 대한 기술 내용을 기술문법의 관점에서 검토하였다. 7차 교육과정에 의한 『문법』(2002)는 관형사절을 관계절과 명사구 보절로 나누는 전통적 체계를 바탕으로 기술된 것으로 볼 수 있다. 2009년 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독서와 문법Ⅰ』은 기본적으로 『문법』(2002)의 전통적 체계를 따르고 있지만 기술 내용이 간소화됨에 따라 대부분 관계절만을 관형사절의 예로 기술하고 있다. 2011년 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독서와 문법』에서는 관계절을 큰 비중으로 다루고 있지만, 관계절 이외의 다양한 관형사절 구성을 함께 기술하고 있다. 2015년 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언어와 매체』에서는 『독서와 문법』의 기술 태도가 이어지며 확장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의 흐름은 학교문법의 목적 달성을 위한 긍정적 방향의 변화로 평가된다.


In this article, I reviewed the description of the system of adnominal clauses of Korean school grammar from the point of view of Korean descriptive grammar. Grammar(2002) can be regarded as described based on the traditional system, which dividing adnominal clauses into relative clauses and noun phrase complement clauses. Reading and Grammar I(2012) basically follows the traditional system of Grammar(2002). However, since the description of adnominal clauses has been simplified, most textbooks described only relative clauses as examples of adnominal clauses. In Reading and Grammar(2014), relative clauses are treated as important, and various adnominal clauses other than relative clauses are described. In Language and Media(2019), the descriptive attitude of Reading and Grammar continues and expands. These changes can be evaluated as positive changes to achieve the purpose of Korean school gramm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