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사회성기술 향상에 효과가 있는 증거기반 중재인 사회상황이야기(Social Story)를 ADHD 아동에게 적용하여 문제행동과 또래관계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참가자는 ADHD 저학년 초등학생 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사회상황이야기 프로그램은 아동이 개별적으로 나타내는 문제행동․또래관계 특성과 해당 특성을 반영한 사회상황이야기를 각각 5편 제작하고, 사회상황이야기 중재는 1회당 20분씩 2∼3회 총 20회기 1:1개별로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ADHD 아동의 문제행동 또래관계 변화를 사전-사후로 알아보기 위해 한국판 아동·청소년 행동평가척도(K-CBCL), 또래 관계 설문지(Peer Relationships)를 사용하고, 자료 분석은 비모수적 방법인 Wilcoxon의 부호순위 검증과 분석자 삼각측정법(Investigator Triangulation)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사회상황이야기 중재는 ADHD 아동의 문제행동의 하위 요소인 과잉행동․충동성․주의집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사회상황이야기 중재는 ADHD 아동의 또래관계에 부분적으로 긍정적인 효과를 미쳤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사회상황이야기라는 마음이론에 기반한 사회적 인지전략을 ADHD 아동에게 적용함으로써 기존의 중재 방법과 함께 대안적인 교육 중재프로그램으로써의 활용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Social Stories on ADHD children on problem behaviors and peer relationships. Participants were 5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lower grades of ADHD. Problem Behavior social stories 5 and peer-related social stories 5 were produced and 20 session interventions were conducted for each child. The research design used a one-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o measure the differences in problem behaviors and peer relationships of ADHD students in pre-test and post-tests, K-CBCL(Korean Child Behavior Checklist) and Peer Relationship Test(Pettit, 1988) was tested. Analyst triangulation was used to analyze in-depth changes in problem behaviors and peer relationships of the children. As a result, first, social story interven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hyperactivity, impulse, and attention concentration which is a sub-element of ADHD children's problem behavior. Second, social story mediation had a partially positive effect on the peer relationship of children with ADHD.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applied the social cognitive strategy based on the social theory of mind theory to ADHD children, suggesting the possibility of using it as an alternative educational intervention program along with the existing intervention meth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