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조직구성원들이 직무에서 요구되는 것 이상으로 조직을 위해 자발적으로 헌신할 때, 조직 효과성이 제고될 수 있다는 데에는 이견이 없다. 국내에서도 OCB에 대한 연구는 괄목할만한 양적 성장을 이뤘으나, 주로 OCB의 선행요인을 제시하고 검증하는 경험적 연구에 치중되어 OCB가 조직에 미칠 수 있는 다양한 결과에 대한 연구가 상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다. 또한, OCB의 순기능적 측면을 제시한 연구결과가 다수인 반면, OCB가 초래할 수 있는 잠재적인 역효과를 다룬 연구는 극히 드문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조직시민행동에 대한 기존 연구방향을 보완하여 OCB가 가져올 수 있는 효과를 균형적으로 살펴보고자 하며, 이에 조직시민행동이 이직의도및 직무성과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조직시민행동의 긍정적 효과 및 비용을 논리적으로 밝히고, 조직 내 개인자원으로써 공공봉사동기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분석자료는 2018년 한국행정연구원에서 실시한 ‘공직실태조사’를 활용하였으며 공공조직 구성원들의 조직시민행동이 조직에 미친 효과를 실증분석하였다.


Recently, some researchers have challenged ideas that inherently OCBs would positively contribute to organization, calling for a more balanced view of OCBs. Using a public employee survey conducted by the Korean Institute of Public Administration in 2018,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s the impacts of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n job outcomes including employee’s turnover intention and their job performance. Drawing on person-job fit theory and job demands-resources model, this study also suggests public service motivation can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job outcomes. The implications for future studies and practice a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