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최저임금인상을 통해 저임금 노동을 해소하려는 정책은 저임금이 구조화되어 있는, 전속적거래 구조 하의 2,3차 벤더 중소기업 노동자와 프랜차이즈, 대리점 등의 종속적 자영업자에 고용되어 노동자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문제는 저임금 노동자들을 고용하고 있는 영세 중소기업과 소상공인들은 대기업과의 거래조건이나 경쟁력이 취약하여 만성적인 낮은 수익구조에 놓여 있다는 점이다. 전속적 거래구조에서는 원청 대기업은 중소기업의 재료비, 인건비 등의 원가를 조사하여 최소한의 이윤만이 남도록 납품대금을 결정함으로써 중소기업의 임금인상 여력을 취약하게 만들고 있다. 대기업과의 거래조건 개선과 거래관계에서의 지위 향상을 위해서는 사회적 교섭이 활성화되어야 한다. 최저임금 인상에 따른 부담을 대기업과 본사도 함께 분담하도록 납품대금의 공정한 조정이나 가맹수수료의 조정 교섭, 편의점 업계의 최저수익보장제, 외식 프랜차이즈업계의 물류구매 협동조합 등 다양한 사회적 교섭이 추진되어야 한다.


The policy to eliminate low-wage labor through the minimum wage increase should focus on low-wage workers of SMEs, especially secondary or third vendors locating in exclusive deal structure with major company. The another focus should be on workers hired by self-employed people, such as franchisees, agencies. The problem is that SMEs and Self-employed are under a chronic low-income structure because of poor trade terms with large corporations or low level of competitiveness. In the exclusive trading structure, large corporations investigate the cost of raw materials and labor costs of SMEs and determine the payment amount so that only the minimum profit is left, thereby weakening the wage hike of SMEs. Social bargaining must be promoted in order to improve the terms of trade with large companies and to improve their status in trading relationships. Various social bargaining should be promoted such as fair adjustment of delivery price, bargaining negotiation of franchise fee, minimum profit guarantee system of convenience store industry, and logistics purchase cooperative association of restaurant franchise industry so that large companies share the burden of minimum wage increa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