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일선 경찰공무원은 직무스트레스의 증가로 감정노동의 수준은 높아졌지만, 이에 대한 연구는 미흡하다. 본 연구는 일선 경찰 공무원의 감정노동과 조직효과성 간 조직지원인식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여 감정노동의 부작용을 완화할수 있는 조직지원방안을 모색하였다. 분석결과, 감정노동과 조직시민행동 간표면행동과 조직지원의 상호작용과 내면행동과 조직지원의 상호작용이 조직시민행동에 조절효과를 보였다. 감정노동과 직무만족 간 내면행동과 조직지원의 상호작용도 직무만족에 조절효과를 보였으나, 표면행동과 조직지원의상호작용은 직무만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따라서 감정노동과 조직효과성 간 조직지원의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다만 일선경찰관의 표면행동과 직무만족 간 조직지원인식이 직무만족을 높이는데 기여하지 못함을 의미한다. 감정노동의 부정적 영향을 해소하기 위해 수단적 지원못지않게 정서적 지원을 확대해야 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organizational support recognition between the field police officers' emotional labor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sought the organization support plan that can reduce the side effects of emotional labor.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interaction between surface acting and organization support, and the interaction between deep acting and organization support showed a moderate effect on th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In addition, the interplay of deep acting and organizational support between emotional labor and job satisfaction showed a moderating effect on job satisfaction, but interaction between surface acting and organizational support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job satisfaction. This suggests that there is a moderating effect of support for emotional labor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However, the organizational support recognition among the surface acting and job satisfaction of the field police officers does not contribute to enhancement of job satisfaction. Emotional support should be expanded as well as instrumental support in order to reduce the negative effects of emotional lab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