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실질환율의 변화가 한국 배(Pear) 수출 가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1970~2013년의 연간 시계열 자료를 이용하고 자기회귀시차(ARDL) 모형 한계 검정법(Bound test)을 적용했다. 또한 Wald-Test를 통해 배 수출 시장에서 실질 환율 변화의 대칭 및 비대칭 효과를 평가 했다. 분석한 결과, 첫째, 자기회귀시차모형(Autoregressive Distributed Lag Modeling) 장기 효과 분석에서1%의 환율 하락(원화절상)이 5.64%의 배 수출 가격을 상승시켰다. 둘째, 단기효과 추정 결과에서 1%의 환율 상승(원화절하)이 시차 1기(-1), 시차 2기(-2)에서 각각 0.02%, 0.04%의 배 수출 가격을 하락시켰다. 셋째, 1%의 인플레이션이0.11%의 배 수출 가격을 상승시켰다. 넷째, 1%의 이자율 상승이 0.67%의 배수출 가격을 하락시켰다. 마지막으로 1%의 무역 개방도의 상승이 0.74%의 배수출 가격을 상승시켰다. 이처럼 배 수출 시장에서 환율의 비대칭 효과가 존재한다면 무역수지가 악화된다. 본 연구의 추정 결과와 정책 제안을 통해 안정적인 환율 정책과 수출 농산물 생산 촉진을 유도하고 한국의 농업 부문 수출 규모확대와 농가 소득 증대에 유의미한 시사점을 줄 것이다.


This study used annual time series data of 1970~2013 to analyze the effect of real exchange rate variation on Korean Pear export market. The ARDL Bound test and the Wald test were used to evaluate the symmetric and asymmetric effects of real exchange rate variation. As a result of the asymmetric effect of the pear, Firstly, the KRW appreciation of 1% increased the export price of 5.64%. Secondly, the 1% depreciation of the KRW of the first period (-1) and the second period (-2) decreased 0.02% and 0.04% in the export price, respectively. Thirdly, the rise in inflation has boosted pear export prices by 0.11%. Fourthly, interest rate increase of 1% led to decrease in pear export prices of 0.67%. Finally, a rise in trade opening of 1% led to increase in pear export prices of 0.74%. If asymmetrical effects of exchange rates exist in the pear export market, the trade balance will deteriorate.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rovide a meaningful implication for the expansion of Korea's agricultural exports and the increase of farm household income through stable exchange rate policy and promotion of production of export agricultural produ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