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The current study investigated the roles of morphological awareness (Carlisle, 1995) and phonological awareness (Ziegler & Goswami, 2005) in Korean young learners' second language reading comprehension (Jeon, 2011). This study included 117 Korean university students who took morphological awareness (i.e., sentence analogy task), phonological awareness (i.e., rhyme oddity task), and L2 reading comprehension tests. Morphological awareness had a considerable effect on pseudoword reading and reading comprehension tasks, while single word reading did not explain a meaningful contribution. Findings showed that morphological awareness helps Korean young English learners' reading comprehension more than phonological awareness.


이 논문은 한국의 어린이 영어학습자들의 제 2 언어읽기이해(Jeon, 2011)에 대한 형태인지(Carlisle, 1995)와 음운인지(Ziegler & Goswami, 2005)의 역할을 살펴본 연구이다. 73명의 한국의 초등학생들의 형태인지와 음운인지를 알아보기 위해 문장유추과제, 운율변별과제, 그리고 제 2언어 읽기 이해시험을 살펴보았다. 형태인지는유사 비단어 읽기와 읽기 이해 과제에서 상당한 효과를 나타낸 반면, 한 단어 읽기과제는 의미있는 기여가나타나지는 않았다. 결론적으로 형태인지가 음운인지보다 더 읽기이해에 효과적이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이는 제 2 언어읽기에 있어서 형태인지와 음운인지에 대한 교육적 시사점을 제시해 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