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예즉리(禮卽理)’, 예(禮)의 근본과 말단, ‘극기복례(克己復禮)’에 대한 정제두의 이해를 분석함으로써 그의 예론에 나타난 양명학적 성격과 그 사상사적 의의를 규명한 것이다. 정제두는 리(理)를 예(禮)요, 마음의 본체로 규정한다. 그는 리를 내 마음의 천리로간주하고, 마음 밖에 별도로 리가 있다고 여기지 않는다. 이것은 ‘심즉리(心卽理)’의입장에서 예를 이해한 것이다. 정제두는 마음의 본체에는 사물을 알맞게 처리하는 지적 능력이 있다고 본다. 이마음의 천리가 사물과의 관계에서 알맞게 드러난 조리가 바로 예문(禮文)이다. 이것은 일체의 윤리 규범이 마음에 근본을 두고 있는 것으로 여긴 것이다. 정제두는 마음의 본체인 ‘예’와 사물에 대한 예문인 ‘문’을 일본(一本)과 만수(萬殊)의 관계에 있는것으로 파악한다. 이처럼 예문을 마음으로 수렴하고, 예와 문을 본말 관계로 파악한것은 정제두 예학의 양명학적 특성이 발휘된 것이다. 정제두는 ‘극기복례’에 대한 해석에서 주희의 관점을 비판하고 왕수인의 견해를따른다. 그는 ‘극기’를 일상생활에서 예가 아닌 마음을 이기는 것으로 해석하고, ‘복례’를 행위주체가 자신의 마음을 천리 자체가 되게 하려는 것으로 풀이한다. 이러한해석에서는 ‘극기’와 ‘복례’가 하나의 일이 된다. 예가 아닌 마음을 이기는 ‘극기’의과정이 곧 마음의 본체인 천리를 회복하는 ‘복례’의 과정인 것이다. ‘극기복례’에 대한 이러한 해석도 양명학의 입장을 따른 것이다. 정제두는 예의 근본을 양명학에서 제시하는 본심천리(本心天理)에 설정하고 있으며, 본심천리를 극진히 발휘하는 것을 예를 실천하는 방법으로 이해하고 있다. 이것은 조선의 예교 문화를 뒷받침할 수 있는 심성론과 공부론의 토대를 양명학에서 찾았다는 점에서 그 사상사적 의의가 있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Yangming studies in Jeong Je-du’s theory of ritual and its significance in the history of thought in the Joseon Dynasty. To this end, it analyzes Jeong Je-du’s understanding of three notions: ‘ritual is principle’ 禮卽理, ‘the fundamental and the secondary of ritual’ 禮之本末, and ‘restraining oneself and returning to ritual’ 克己復禮. Jeong Je-du defines principle in two ways: ritual and the fundamental substance of the mind. Since he regards principle as the Heavenly Principle preserved in the mind, no principle exists outside the mind. In this way, Jeong’s understanding of ritual is based on the core idea of Yangming studies: the mind is principle. Jeong Je-du believes that the fundamental substance of the mind has an intellectual ability to respond appropriately to things. From his view, the patterns of ritual 禮文are nothing but orderly expressions revealed in the appropriate relationship between things and the Heavenly Principle in the mind. This interpretation accords with the belief that all ethical norms should be based on the mind. Jeong understands that ritual, which is the fundamental substance of the mind, is the oneness-root and the patterns of ritual, which get involved in myriad things, are manyness-diversity. Ascribing the patterns of ritual to the mind and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ritual and the patterns of ritual as the fundamental and the secondary are the characteristics of Yangming studies demonstrated in Jeong’s theory of ritual. While criticizing Zhu Xi’s 朱熹interpretation of ‘restraining oneself and returning to ritual’, Jeong Je-du follows Wang Shouren’s 王守仁view when he interprets ‘restraining oneself’ as controlling everyday behavior and attitudes according to the mind not ritual, and ‘returning to ritual’ as devoting effort to make the mind become the Heavenly Principle itself. According to this interpretation, ‘restraining oneself’ and ‘returning to ritual’ indicate the same task. This is another aspect of Yangming studies’s influence on Jeong’s theory of ritual. Jeong Je-du deems that the essence of ritual lies in the Heavenly Principle in the mind; therefore, fully realizing this Principle is a way to practice ritual. Jeong’s theory of ritual assumes significance in the history of thought in the Joseon Dynasty in that it formulates the arguments concerning the mind and moral cultivation based on Yangming studies in a way that can support pro-Zhu Xi Confucian ritual-based culture of the Joseon Dynas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