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최근 조직이 내・외부적으로 다양한 변화에 직면해 있는 상황에서 공공조직의 혁신에 대한 요구는 증가하고 있다. 이 연구는 공공봉사동기가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조직문화가 이들 관계에서 조절변수 역할을 하는지확인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중앙행정기관 및 광역자치단체에 소속되어 있는 일반직 공무원 4,068명을 대상으로 시행된 한국행정연구원의 2020년 공직생활실태조사를 바탕으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공공봉사동기가 높을수록, 혁신행동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직문화(합리문화, 발전문화, 집단문화, 위계문화) 중위계문화가 강할수록 공공봉사동기가 혁신행동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력은 강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를통해 공무원의 혁신행동을 유발하기 위해서 조직구성원의 공공봉사동기와 조직의 안정적이고 책임소재가 분명한 문화가 중요하다는 것을 확인했으며, 혁신행동에 대한 연구의 이론적 논의 확장에 기여했다는 의의가 있다.


Recently, in a situation where organizations are facing various internal and external changes, expectations for innovation in public organizations are growing.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public service motivation on innovation behavior and seeks to determine whether organizational culture serves as a moderating variable for these relationships.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s conducted based on a survey investigated by the Korea Institute of Public Administration on 4,068 general public officials belonging to central administrative agencies and metropolitan governmen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shows that public service motivation has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innovative behavior. In addition, the hierarchical culture among the organizational cultures(rational culture, development culture, group culture, and hierarchical culture) significantly moderates the impact of public service motivation on innovative behavior. This study suggests that public service motivation and a stable and responsible culture of the organization are important to induce innovative behavior of public officials, and it contributes to the expansion of theoretical discussions on innovative behavi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