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에서는 한중 MZ세대의 정동(情動, Affect)을 통해 동아시아 내셔널리즘의 질적 변이를 되짚어보고자 한다. 즉 MZ세대를 둘러싼 가변적이고 불확실한 미래, 물리적으로 영육을 압박해오는 노동 스트레스, 주거 공간조차 마련하기 힘들지도 모른다는 불안, 기존 세대와의 정치적 충돌 및 주변 MZ세대들과의 경쟁 관계 등이 총체적으로 빚어내는 정동이 애국주의라는 출로를 향해가는 현상을 추적할 것이다. 이를 위해 필자는 첫째 한중 MZ세대들 사이에 사회적으로 가시화하거나 유의미하게 부상한 내셔널리즘의 생성·전개·이접·변형에 관해 논의하고, 둘째 국가 대 국가의 이분법으로 한중 양국을 차별화하기보다 한중 MZ세대의 사회현실과 세대심리가 지닌 ‘동시성’을 추출할 것이며, 셋째 이전 세대와 결을 달리하는 한중 MZ세대의 내셔널리즘에 대해 ‘감성 애국주의’의 출현이라는 가설을 제시하고자 한다. 필자는 감성 애국주의의 명(明)과 암(暗)을 동시 조명하는데, 자기정체성의 관리라는 순기능과 관계파괴적 에너지라는 역기능을 두루 살피는 한편 장차 민주적 시민성의 토대가 될 수 있음을 주장할 것이다. 이는 한중 MZ세대의 혐오에 기반한 내셔널리즘을 세대론적 관점에서 재해석함으로써 동아시아에 만연한 편견과 반목, 그 배후에 작동하는 신자유주의의 폐단을 해부하고, 전 지구적 위기에 공동 대응하는 미래사회의 밑그림을 그리기 위함이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qualitative changes in East Asian nationalism through the ‘affect’ of the MZ generation in Korea and China. It traces the phenomenon of how affect leads to patriotism, triggered entirely by the fluctuating and uncertain future surrounding the MZ generation, the labor stress that physically pressures both minds and bodies, the anxiety arising from the difficulty of even having a place to live, political conflicts with the older generation, and the competitive relations within the MZ generation. To this end, the author first discusses the emergence, development, disjunction, and transformation of nationalism that has been socially visible and has become significant; second, instead of dichotomously differentiating Korea and China in this discussion, the author extracts the ‘simultaneity’ of the reality and generational psychology of the MZ generation in Korea and China; third, in doing so, the author offers the hypothesis of the “affective patriotism” characterizing the nationalism of the MZ generation in Korea and China which is different from the previous generations. In elaborating the bright side and dark side of affective patriotism, the author considers its positive function in the management of self-identity and its negative function as relationship-destroying energy and argues that affective patriotism can be the basis for democratic citizenship. By reinterpreting the disgust-based nationalism in the MZ generation in Korea and China from a generational perspective, the article dissects the antagonism and prejudice in East Asia as well as the abuse of neoliberalism that lies behind them in order to draw a blueprint for a future society in which global crises are collectively addre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