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조직 내 중요한 인적 자원인 여성 관리자의 경력 단절 완화와 일·가정에서의 이중부담을 해소하기 위해 이들의 퇴사 결정에 대한 주요 예측 요인을 규명하고, 조직 차원에서의 역할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것이다. 조직 내 여성 관리자는 지속적인 경력 개발에 있어서 다양한 어려움에 직면하게 된다. 특히, 이들은 직장뿐 아니라 가정에서의 역할 갈등을 조율해야 하는 이중 부담의 기로에 놓여있다. 기업에서의 여성 관리자의 중요성 인식과 이로 인한 여성 관리자의 비율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음에도 여전히 가정 내 역할의 동반 수행을 위한 제도적 지원은 미흡하며, 이로 인해 여성 관리자는 경력 유지에 한계를 인식한다. 본 연구는 머신러닝 기법인 랜덤 포레스트를 활용하여 여성 관리자의 퇴사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예측 변수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여성 관리자의 퇴사를 예측하는 중요도 상위 결정 요인은 탄력근무제, 연차 휴가, 연수휴가 및 휴직, 재택 및 원격근무제, 직장보육시설 유무, 유연근무제 사용 용이성, 집안일에 대한 부담, 가족 부양 책임감, 남성의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 사용 용이성 등이 도출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여성 관리자의 근속과 지속적 경력 개발을 위해 조직은 선제적으로 퇴사 요인을 규명하고 지속적으로 관리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한다.


We aim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organizational roles for alleviating women managers' both career breaks and the double burden from work and home by identifying the key predictors of their resignation decisions. Women managers within organizations face various problems in continuous career development. In particular, they face the double burden of reconciling role conflicts at the workplace and at home. Even though the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women managers and their portion within the organization is increasing, organizational support for their simultaneous role performance is still insufficient and leads to them perceived the limitation of career retention. This study analyzed the primary variables predicting their resignation application to the random forest. The results demonstrated a flexible working system, annual leave, training leave, remote working, workplace childcare facilities, the burden of household chores, responsibility for supporting the family, and ease of use of maternity and parental leave for men. For women managers’retention and sustainable career development, we suggest that organizations should preferentially shed out the resignation antecedents and continuously manage their Human Resource dat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