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일중독을 행동중독의 일종으로 개념화하고 Griffiths(2005)가 제안한 행동중독 준거 6요인으로 구성된 한국형 일중독 척도(Korean Work Addiction Scale: K-WAS)의 개발․타당화를 목표로 하였다. 특히 행동중독 모형에 부합하는 요인별 다문항 측정도구를 개발하여 일중독을 행동중독 연구의 틀에 안착시킴으로써 향후 일중독과 과로, 장시간 노동으로 인한 문제와 부작용 해소의 길을 모색하고자 한다. 문항 개발에는 크게 두 가지의 원천, 즉 (1) 7종의 대표적인 기존 일중독 척도와 (2) 임금근로자 및 자영업자 대상 심층 면접과 개방형 설문조사를 통한 경험 수집을 활용하였으며, 행동중독 준거를 이용한 연역적 접근과 함께 경험 수집을 통한 귀납적 접근을 적용하여 해외에서 개발된 척도들이 포착하지 못한 한국 사회와 한국인의 일중독 특성에 다가가고자 하였다. 예비조사와 본조사를 거쳐 최종적으로 행동중독 6가지 준거, 즉 현저성, 기분조절, 내성, 갈등, 금단, 재발의 6요인에 대응되는 총 18문항의 K-WAS 척도를 제안하였다. 분석을 통해 6요인을 포함하는 위계적 2차 요인 모형이 좋은 적합도를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K-WAS 점수는 일에 대한 몰입을 나타내는 직무열의와 더불어 과도한 일로 인한 부정적 영향을 나타내는 번아웃, 직무소진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대체로 직무번영감, 삶의 만족도, 긍정 정서의 경험과는 약하거나 유의하지 않은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중독의 이러한 특성은 번아웃이나 직무소진, 직무열의와 구분되는 특성을 보여준다. 또한 이들 변수와 K-WAS 하위 요인 점수별 상관은 일중독의 양가적 속성을 부각한다. 본 연구는 일중독 연구 및 척도에 대한 비판적 개관을 통해 기존 일중독 개념화와 측정도구의 문제를 지적하고, 일중독의 행동중독 개념화가 일중독 개념을 명세화하고 관련 연구를 통합하는 데 어떤 도움을 줄 수 있는지 논의한다.


Conceptualizing work addiction as a form of behavioral addiction, this study attempts to develop and validate the Korean Work Addiction Scale or K-WAS based on Griffiths’ (2005) behavioral addiction criteria, i.e., salience, mood modification, tolerance, conflict, withdrawal, and relapse. The preliminary items for K-WAS were developed based on two main sources: (1) data from seven existing workaholism or work addiction scales (WorkBat, WorkBat-B&P, WorkBat-Han, WART, DUWAS, BWAS, and WAQ) and (2) data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open-ended surveys from Korean workers (employees and self-employed) on their experiences with and related to work addiction. An 18-item K-WAS was derived as a result and analyses showed that the proposed hierarchical secondary factor model with six sub-factors has a good fit. In addition, K-WAS was found to have low to moderate positive correlations with work engagement and burnout but weak or non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thriving at work, job satisfaction, subjective well-being, and positive affect, demonstrating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Based on a critical review of extensive workaholism and work addiction studies and scales, this study provides suggestions for developing work addiction items and discusses the usefulness of applying the behavioral addiction framework in work addiction studies—i.e., how it can help refine the work addiction concept and its subdimensions and integrate relevant research. Further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re also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