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사회책임투자지수에 편입(퇴출)된 종목과 기존 지수구성 종목 간 수익률 동조화(이탈화)가 발생하는지를 고찰하고, 지수 구성종목 변경에 따른 수익률 동조화 현상이 행태재무 기반의 투자심리에 기인하는지를 규명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에 의하면, 사회책임투자지수 구성종목 변경 이후에 편입종목은 수익률 동조화가 확인되며 퇴출종목은 수익률 이탈화 현상이 발생하였다. 또한, 초기 사회책임투자지수(1세대)와 신-사회책임투자지수(2세대) 모두에서 수익률 동조화가 나타나나 2세대 지수는 장기적으로 수익률 동조화가 약화되었다. 그리고 수익률 동조화는 주로 개인투자자의 거래행태와 관련성이 높으나 2세대 지수에서 단기간 발생한 수익률 동조화는 외국인투자자의 거래와도 연관되어 있음이 확인되었다. 전체적으로 비재무적인 요소를 기반으로 한 사회책임투자지수 구성종목 변경사건에서도 지수변경에 따른 수익률 동조화 현상이 확인되었다. 이는 주로 개인투자자의 거래행태에 기인하나 최근에는 외국인투자자의 거래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고 있다. 즉, 사회책임투자에 대한 투자자의 긍정적인 인식이나 단기적인 수요 증가로 인해 수익률 동조화 현상이 나타나고 있음을 파악해 볼 수 있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impact of additions or deletions to the ESG index on stock return comovement in the Korean stock market over a 10-year period from 2010 to 2019, using eight ESG indices. Our results show that firms added to the ESG index experience an increased beta, both in the short- and long-term, while deleted stocks from the ESG index show significant decreases in beta. The return comovement following ESG index changes identifies not only the initial ESG index but also the new ESG index launched in 2015. However, comovement to the ESG index inclusion is more pronounced with the initial ESG index. Moreover, we find that comovement largely accounts for the trading behavior of individual investors and is partially related to foreign investors’ trading. Our findings are consistent with previous evidence on comovement with changes in major market index constituents and suggest that ESG index revision by considering non-financial factors also induces stock return comovement. These results can be explained by the investor sentiment-based vi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