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사회기술체계론과 대화적 접근법에 근거한 영국의 일터혁신 사례를 분석하였다. 영국의 일터혁신은 근로자 참여 기반 일터혁신을 핵심으로 두고 있지만, 혁신활동을 촉진하는 기반과 방안으로서 자율관리 팀 작업, 근로자들에 대한 재량권 확대와권능확대, 다기능화, 직무의 확대와 확충을 위한 재설계 등을 제시하고 있으며, 위계구조를 허물고 납작한 조직구조로의 전환과 의사결정의 분권화, 기능부서간 칸막이 제거와 업무흐름 중심의 작업조직 재편 등 조직구조 개편도 요건으로 보고 있다. 더불어노사 간 쌍방향의 소통구조 확대, 코칭 중심의 관리스타일, 정보공유와 투명경영 등도근로자 주도 일터혁신의 구성요소로서 주목된다. 그리고 구성요소들의 번들로서 집합적 체계도 일터혁신의 필수적 구성요소로 제시되었다. 린 생산방식과 달리 정형화된혁신기법을 사용하지 않지만, 사회기술체계론과 대화적 접근법 기반 일터혁신이 근로자들의 내재적 직무만족을 높여 조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확인되고있다.


This study conducts a qualitative study on a British case of the workplace innovation based on socio-technical and dialogue perspectives. The results of this study document that the workplace innovation model has also employee-involved innovations as its core, but organization redesigns such as self-managed team, employee empowerment, multi-skilling, job redesign, flatter organizational structure, are suggested as essential enablers of the innovations. It is noted that two-way communication between management and labor, coaching-based management style, information-sharing and visible management are also components of the workplace innovation model. Above all, the system as a bundle of the essential factors is also necessary to create its synergy effe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model improves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rough intrinsic job satisfaction and employee engagement, even though the British model of workplace innovation does not use any pre-existing innovation tool such as TQM or 6 Sigma unlike lean production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