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인공지능 챗봇의 의인화가 챗봇과의 준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해보고자 수행되었다. 그리고 사회적 행위자로서의 미디어(MASA) 패러다임을 바탕으로 챗봇을 사회적 행위자로 가정하고, 사회적 반응인 인지된 유사성과 사회적 현존감의 역할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총 132명의 대학생이 실험에 참여하였고, 실험 자극물인 챗봇은 시각적 의인화 단서 유무에 따라 의인화 실험 조건의 사람 외모 챗봇과 비의인화 실험 조건의 로봇 외모 챗봇 두 유형으로 제작되었다. 실험참가자는 두 실험 조건 중 하나에 무선 할당되어 한 유형의 챗봇만을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 사람 외모 챗봇 이용자는 로봇 외모 챗봇 이용자에 비해 인지된 유사성과 사회적 현존감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준사회적 상호작용도 높게 나타났으나, 이는 인지된 유사성과 사회적 현존감을 통해 간접적으로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인간-AI 챗봇 상호작용 환경에 MASA 패러다임을 적용, 어떻게 AI 기술이 사회적 행위자가 될 수 있는지를 설명하고 있으며, 이로써 인간 친화적인 인공지능 챗봇 설계를 위한 의미있는 통찰을 제공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 of AI chatbot’s anthropomorphic cue on parasocial interaction with AI chatbot. Based on the media are social actors(MASA) paradigm, chatbots were assumed to be social actors, and their social responses(i.e., perceived homophily, social presence) were also examined. A total of 132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an experiment. Chatbots as experimental stimuli were created in two types: chatbot with human-like appearance for the anthropomorphic experimental condition and chatbot with robot-like appearance for the non-anthropomorphic experimental condition. The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he two conditions. This study found that people who used the human-like chatbot reported greater levels of perceived homophily and social presence than those who used the robot-like chatbot. In addition, the level of parasocial interaction was also found to be greater, but the effect occurs indirectly through perceived homophily and social presence. The findings of this study may provide the explanation of how AI technology can be a social actor by empirically testing the MASA in the human-AI robot interaction setting, and may also provide useful insights for the design of human-friendly AI chatb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