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장소란 무엇인가? 공간과 장소는 어떤 차이가 있는가? 장소는 공간에 주관적인 가치와 의미를 부여함으로써 생성되는 공간이다. 이렇게 볼 때 장소는 반드시 유명 관광지만을 가리키지 않는다. 장소성의 초기 형성은 미디어 및 온오프라인 구전을 통해서 형성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 초기의 발생은 이미지와 향유할 수 있는 콘텐츠의 형태로 전달되고 안정된 경험의 수준에 따라 명소로 유지되거나 소멸하게 된다. 이는 일상생활을 영위하는 도심도 경험적 소비를 위한 대상도 공간, 나아가 특정 장소가 될 수 있다. 이 연구는 독특한 미디어와 광고물 그리고 문화예술 행사의 경험적 소비가 장소성에 대한 초기 구성과 수용자들의 인식들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최근 명소화 프로젝트가 진행된 옥외광고 자유표시구역의 장소성 형성과 그에 따른 방문의도의 관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디지털 사이니지를 통한 콘텐츠와 문화예술행사 등 다양한 볼거리와 다른 즐길거리를 제공하는 옥외광고물 자유표시구역이 장소성 형성 및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서울 및 수도권 소재 대학생 32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장소성을 형성하는 물리적, 행동적, 의미적 요인은 모두 장소 정체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장소 정체성은 장소 애착과 장소 의존성, 방문의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렇게 형성된 장소성은 다시 사람들의 방문의도를 높이는데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또한 자유표시구역 방문 여부에 따른 다중집단분석을 실시하여 장소성 형성 관계를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코엑스 자유표시구역의 장소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What is a place?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space and place? The place refers to the space generated by giving subjective values and meaning to the space. In this sense, the place is not necessarily a famous sightseeing. The city center of everyday life can be a place for empirical consumption, and it can be a plac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formation of the location of the free outdoor advertising zone and the intention to visit accordingly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sense of place. The effect of contents using digital signage and cultural and artistic events on the forming sense of place and intention of visit in the outdoor advertisement free outdoor advertising zone was empirically analyzed. To this end, factors that form sense of place were classified physically, behaviorally, and semantically, and to analyze sense of place in a multidimensional manner, it was divided into place identity, place attachment, and place dependence. To verify hypothesis a survey was conducted on 327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and the metropolitan area. As a result of the study, physical, behavioral, and semantic factors had a signigicant effect on place identity, and place identity had an effect on place attachment, place dependence, and visit intention. The sense of place formed in this way had a positive (+) effect on increasing people's intention to visit again. In addition, a multi-group analysis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o visit the COEX Free Display Area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of place formation in depth.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measures to increase the location of the COEX Free Display Zone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