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미·중 복합 지정학적 갈등에 대한 러시아의 시각과 전략적 입장·대응을 복합대전환 시대 유라시아 전략공간의 재구성 측면과 연계해 살펴보았다. 미·중 갈등은 전략·패권경쟁의 성격을 띠고 있으며 장기적으로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미·중 갈등은 정치, 경제, 안보, 가치(인권) 등 광범위한 영역에 걸쳐 있으며, 대만해협과 양안문제, 남중국해, 신장·위구르, 홍콩 문제 등 사활적 이익이 담긴 지정학적 단층선을 함유하고 있다. 미·중 갈등은 유라시아 전략 공간의 재구성을 가져오는 핵심 변수 중의 하나로 작용하고 있다. 푸틴정부는 미·중 패권경쟁을 비롯한 국제정세 변화 움직임을 새로운 ‘도전과 기회’로 인식하고 있다. 러시아의 전략과 대응은 △ 다극관계망을 통한 균형과 견제(Balance and Check) 도모, △ 제한적 편승과 전략적 균형 추구(러·중 전략 연대를 통한 대미 공동 견제), △ 유라시아 전략공간에의 독자성 강화 추구로 집약된다. 미·중 패권경쟁에 대한 러시아의 대응 역시 유라시아 전략 공간 재구성에의 중요한 변인으로 작용하면서, 러시아가 포함된 양자 및 다자간 경쟁·합종연횡이 보다 치열해 질 것임을 예고하고 있다. 한국이 검토해야 할 정책적 시사점은 유라시아 전략공간 재편에 대한 관심과 중요성에 대한 이해 제고, 주요국의 미래 국가발전 전략과 대응 비교, 우크라이나 전쟁의 국제정치적 함의와 제반 파급영향에의 대비 등이다.


In this study, Russia's perspective and strategic position and response to the complex geopolitical conflict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China were examined in connection with the reshaping of the strategic sphere of Eurasia in the era of complex transformation. The US-China conflict has the characteristics of a strategic and hegemonic competition, and is expected to continue for a long time. The US-China conflict is taking place in a wide range of fields such as politics, economy, security, and values (human rights), and contains a geopolitical fault line with vital interests such as the Taiwan Strait and cross-strait issues, the South China Sea, Xinjiang/Uyghur issues, and Hong Kong issues. The competition for hegemony between the US and China is acting as one of the key variables that bring about the reconstruction of the strategic space in Eurasia. The Putin administration recognizes movements to change the international situation, including the US-China hegemony, as new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In response to this, Russia is responding to the era of complex transformation and is actively taking steps to reorganize the strategic space in Eurasia. Russia's strategy and response to the US-China hegemony are summarized as follows; △ Promoting balance and check through multipolar network, △ pursuing a limited bandwagon and strategic balance(joint checks with the US through Russia-China strategic solidarity), △ seeking to strengthen independence in the strategic space of Eurasia. Russia's response to the competition for hegemony between the US and China also acts as an important factor in restructuring the strategic space in Eurasia, foretelling that bilateral and multilateral competition and alliances involving Russia will intensify. Policy implications that Korea should review include enhancing understanding of the importance and interest in reorganizing the strategic space in Eurasia, comparing major countries' future national development strategies and responses, and preparing for the international political implications of the Ukraine war and its positive and negative effe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