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창의적 아이디어 생성 기법 중의 하나인 브레인라이팅을 강의에 적용한 지도의 실제를 통해 예비 국어교사들의 학습 효과와 향후 수업 역량의 신장을 위한 방향성을 찾는 데 목적을 둔다. 이에 따라 사범대학 국어교육 전공 학생들의 작문 지도에 적극적인 학습자 활동으로 브레인라이팅을 적용하는 과정을 중심 내용으로 운영하여 그 강의의 실제 과정 및 결과를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브레인라이팅 기법에 대하여 주제 제시 방식, 시간 및 인원, 기록지 형식, 전개 방식 등을 수업 목표와 환경에 적합하게 재구성하였으며, 글을 쓰는 데 필요한 아이디어의 생성에 초점을 둔 학습 활동으로서의 브레인라이팅을, 아이디어의 작성 및 전달, 활동의 완료 및 내용 종합화 등을 주 활동으로 하는 쓰기 이전 단계에서의 활동으로 진행하는 학습자 활동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통하여 국어과 작문 수업에 실제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지도 전략으로 재구성한 브레인라이팅 활동이, 다양하고 창의적인 아이디어 생성에 대한 만족감, 학습 활동에서의 협력적 수행 과정의 중요성, 학습자의 적극적 참여와 흥미 및 동기 유발의 능동성, 향후 학교 현장에 적용 가능한 실제적 체험 활동의 유의미성 등에서 매우 긍정적이라는 학습자 인식 결과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가 가지는 의의는 예비교사들의 실제적 역량을 기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경험적 강의 구성의 구체적 장면을 보여 주었다는 점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crease the learning effect of prospective Korean language teachers and to enhance the class competency these students will have in the future through the application of brainwriting to the lecture on writing education. Accordingly, this study presented a case focusing on the process of applying brainwriting to the writing lectures of Korean language students at the College of Education. To this end, in this study, the topic presentation method, time and number of people, the format of the recording paper, and the procedure for brainwriting activities were reconstructed to suit the class goals and environment. And we looked into the learner’s activity to apply brainwriting as a learning activity focused on the generation of ideas necessary for writing in the pre-writing stage in detail. Through this study case, it was found that the students of pre-service teachers of Korean language perceived the brainwriting activity positively. In particular, they showed satisfaction with the effectiveness of writing content generation, the development of diversity and creativity of ideas, the importance of cooperative learning activities, the motivating of interest and motivation according to the active participation of learners, and the value as an experiential activity applicable to classe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can be found in the fact that it showed concrete scenes of the composition of the experiential lecture to help pre-service teachers to develop their practical competenc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