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19세기 말 20세기 초 경남 밀양 방언을 반영하는 자료들을 소개하고 이를바탕으로 자료들에 나타나는 언어적 특징들을 통해 당시 밀양의 방언의 모음 음운론적 특징을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19세기 말 20세기 초의 밀양 지역(또는 주변)에서나 밀양 지역 출신이 작성하여 이 시기 밀양 언어를 반영하였다고 볼 수 있는 자료들은 『수겡옥낭좌전』, 『동몽수독천자문(童蒙須讀千字文)』, 언간 등이 있다. 이들 자료를 통해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까지의 밀양 방언은 다른 지역의 방언과 마찬가지로 ‘ㅣ’모음 역행동화나 전설모음화가 활발히 일어나고 있었다. 본고에서는 밀양 방언의 모음 음운론적 특징으로, ‘ㅕ>ㅔ’, ‘ㅕ>ㅓ’의 단모음화, ‘ㅓ>ㅕ’, ‘ㅗ>ㅛ’, ‘ㅜ>ㅠ’ 의 이중모음화, ‘ㅔ>ㅣ’의 고모음화, ‘ㅡ’와 ‘ㅓ’의 합류, ‘ㆎ(ㅐ)’와 ‘ㅔ’의 변별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troduce materials that reflect the Miryang dialect of Gyeongsangnam-do in the late 19th century and early 20th century, and to reveal the phonological features of vowel of Miryang’s dialect through the linguistic features that appear in the materials. The materials that reflect the Miryang dialect from the late 19th century to the early 20th century include “Sugeng’oknangjwajeon”, “Dongmongsudokcheonjamun”, and Eon’gan. These data show that Miryang dialects from the late 19th century to the early 20th century, like other regional dialects, were actively engaged in “i” umlaut, phenomena of high-front vowelizing etc. In this paper, the phonological features of the Miryang dialect were presented with the distinction between ‘ㆎ(ㅐ)’ and ‘ㅔ’, the monophthongization of ㅕ>ㅔ and ㅕ>ㅓ, the diphthongization of ‘ㅗ>ㅛ’ and ‘ㅜ>ㅠ’, the high-front vowelizing of ‘ㅔ>ㅣ’ and the non-distinction between ‘ㅡ’ and ‘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