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우리 옛 문헌에 나타난 회계용어를 식별하여 분류하고 그 의미와 용례를 분석했다. 이를 위해 선행 연구 성과를 종합하고, 각문헌에 쓰인 유사한 용어들을 비교하였으며, 새로운 용어도 찾아냈다. 본 연구 결과는 전통 회계장부를 이해하고, 용어가 반영하는 당시 경제 실상을이해하는 데 유용할 것이며, 새로운 거래를 규정하는 우리말 회계용어를 만들 때 참고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한자로 쓰인 옛 문헌에나타난 회계용어는 분석 결과 한문용어, 이두용어, 한문을 음차한 용어, 한문으로 변화한 이두용어로 구분할 수 있었다. 한문용어는 한자로 쓰고한자 음운대로 읽는 용어다. 이두용어는 한자로 쓰고 한자 음운과 우리말을 섞어 읽어야 뜻이 통하는 용어이다. 용어 쓰임새를 기준으로 하면기장 흐름과 관련된 용어, 계정과목과 장부 명칭, 거래 내용에 관련된 용어, 토지 관련 용어, 숫자와 기호, 도량형 단위로 나눌 수 있다. 본 연구결과 식별된 용어를 숙지하면 우리 전통 복식부기 장부를 이해하는 데 큰 어려움은 없을 것이다. 특히, 이두용어와 한문 음차 용어는 순수한 우리말이므로 우리 전통 복식부기 장부가 독자적으로 발전해온 기장 방법임을 보여주는 증거다. 식별한 회계용어 중에서 도(度)와 교(較) 등으로 당시금융거래 실상을 유추할 수 있고, 질전(作錢)으로 18세기 중반 이전에 조선에 화폐경제가 확산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새로운 회계장부가 출현하여분석하면 우리 전통 회계용어가 추가될 것이다.


This study identified, classified, and analyzed the meaning and use of accounting terms in Korean old literature. To this end,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were compiled, new terms were found, and similar terms appeared in each literature were compared. The analysis showed that accounting terms in the old literature could be classified into Chinese, Yidu, and Korean terms transliterated in Chinese characters. The terms were related to accounting flow, account and book name, characteristic of transaction, land management, numerals and signs, and measurement units. Since this paper identified the most of terms used in the traditional Korean double-entry bookkeeping records known so far, familiarizing them is expected to be helpful for understanding our traditional double-entry bookkeeping literature. It is also expected to be a reference when coining native Korean accounting terms which define transactions. For example, chawhan(借換) with the meaning of refunding or renew debt can be easily replaced by the native Korean of gaebi(개비). It is possible to infer economic reality of the time from the accounting terms identified. The beonjil(번질) indicates that fraudulent accounting was prevalent in 18th century Joseon government. The jiljeon(질전), with the meaning of encashment, reflected that the monetary economy was quite settled before the middle of the 18th century in Joseon dynasty. The term gyo(교) used for currency exchange is an example that Joseon merchants had their own private exchange rate although government did not have an official rate with Japan in the turn of the 20th centu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