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조선의 14대 국왕 선조는 조선시대 최대의 국난 중 하나인 임진전쟁을 겪었고, 조선시대 국왕으로는 처음으로 도성을 비우고 피난길에 올랐던 인물이다. 전쟁 전 그는 일본에 통신사를 파견했고, 전쟁 중에는 국난극복을 위해 노력했다. 전후에는 일본과 국교를 재개했다. 그는 직접 일본인을 접할 기회는 많지 않았지만, 전쟁을 통해 일본에 대해 다양한 정보를 얻었음이 분명하다. 따라서 그가 일본을 바라보는 시각을 통해 당시 조선인의 일본인식의 단면을 살펴볼 수 있다고 생각한다. 전쟁 전 선조는 조선=화, 일본=이로 규정하고 도요토미 히데요시를 반역으로 국왕이 된 인물로 생각했다. 때문에 일본의 통신사파견 요청에 소극적이었다. 통신사 파견을 결정함에 있어서도 모든 문제를 조선이 상위의 입장에서 해결하려는 모습을 보였다. 전쟁 중 선조는 일본에 적개심을 나타냈다. 때문에 강화를 통해 전쟁을 끝내려는 명의 정책에 강하게 반발했고, 쓰시마 공격에 관심을 가졌다. 전쟁 중 선조는 여전히 화이론에 근거하여 일본을 이적시했다. 그런 한편 항왜의 활용과 일본의 축성 기술을 수용하려는 모습을 보이는 등, 군사적인 면에서는 일본이 조선보다 우위에 있음을 인정하였다. 이러한 모습은 전쟁 전 일본을 바라보는 그의 시각과는 일정한 차이가 있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전후 일본이 국교재개를 요청해 왔을 때 많은 반대가 있었다. 그러나 선조는 일본과는 관계를 끊을 수 없다며 국교재개를 결정했다. 이는 도쿠가와 이에야스에 대한 신뢰가 바탕이 되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전쟁 경험을 통해 일본을 바라보는 그의 시각에 변화가 있었기에 가능한 것이었다고 생각한다.


King Seonjo(宣祖), who was the 14th king of Joseon, went through Imjin-War, one of the biggest national crises of Joseon, and was the first king of Joseon that escaped from the capital city to flee. He dispatched Tongsinsas(通信使) to Japan before the war and made efforts to overcome the national crisis during the war. After the war was over, he resumed Joseon's relations with Japan. Although he did not have many chances to have a direct encounter with Japanese people, it is clear that he must have obtained a variety of information about Japan via the war. By looking at his viewpoint of Japan, one can have access to an aspect of Joseon people's perceptions of Japan in those days. Before the war broke out, King Seonjo defined Joseon as Hwa(華) and Japan as Yi(夷) and thought that Toyotomi Hideyoshi became a king through treason. He showed no interest in Japan and was passive about Japan's requests to dispatch a Tongsinsa. When making a decision to dispatch a Tongsinsa, he would try to solve all the issues with Joseon getting the upper hand. During the war, King Seonjo displayed his hostility to Japan, thus resisting fiercely Ming's policy to end the war through a peace treaty and showing interest in Joseon's attacks on the Tsushima Island. As the war raged on, he still considered Japan as a barbarian country based on the theory of the civilized and the barbarians. At the same time, he admitted that Japan was superior to Joseon in the military aspect by making use of Japanese soldiers that surrendered and trying to accept the fortification techniques of Japan. These had certain differences from his viewpoint of Japan before the war. After the war was over, Japan made a request to resume diplomatic relations. Despite many objections, King Seonjo decided to resume diplomatic relations by saying that Joseon could not sever its relations with Japan. His decision was based on his trust in Tokugawa Ieyasu on one hand and partially driven by his changed viewpoint of Japan from before the war on the other h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