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19 팬데믹 이전 시점인 2019년과 코로나 팬데믹 이후 시점인 2021년 대구 관광 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대구광역시를 방문하는 관광객의 관광 공간 행동에 대해 지리학적 접근을 통해 관광객이 실제로 방문했던 관광 공간 간의 관계에 존재하는 특성을 사회연결망 분석을 적용하여 파악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첫째, 밀도 분석(density analysis)을 통해 두시점 간 관광객의 관광 공간 행동 패턴에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한다. 둘째, 내향/외향 연결정도 중심성 분석(in/out-degree centrality analysis)과 매개 중심성 분석(betweenness centrality analysis)을 통해 두 시점 간에 있어 관광 공간의 역할 및 특징에 차이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 첫째, 코로나19 팬데믹 이전에 비해 코로나19 팬데믹 이후에 더욱 다양한 관광 공간을 이용하는 행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코로나19 팬데믹 이전과 이후의 관광 공간의 정규화된 내향 연결정도 중심성 지수의 순위는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고, 외향 연결성 중심성 지수는 코로나19 팬데믹 이전 보다 이후 시점에 실내 공간이 아닌 실외 공간이 개방적인 역할 하는 관광 공간의 역할이 더욱 중요함을 파악하였다. 셋째, 매개 연결성 중심성 지수를 보면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시점에 대구광역시 관광에 있어 대구수목원이라는 관광 공간의 영향력은 매우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코로나19 팬데믹 이전과 이후 관광 공간의 동시 방문 유형과 순위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코로나19 팬데믹 이전과 이후 관광객의 관광 행동에 대해 객관적인고 구체적인 자료를 제시할 수 있으며, 코로나19에로 인한 관광객의 관광 행동 변화를 바탕으로 이론적·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Using data from the Daegu metropolitan Tourism Survey before the COVID-19 pandemic and in 2021 after the COVID-19 pandemic, this study attempt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ourism spatial that tourists actually visited through a social network analysis. Specifically, through density analysis and Bootstrap t-test, the study intends to check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tourists' behavioral patterns in tourist space between the two points in time. Through in/out-degree centrality analysis and betweenness centrality analysis, the study aims to check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role and characteristics of tourist space between the two points of view.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compared to before the COVID-19 pandemic, tourists took action to use more diverse tourist spaces after the COVID-19 pandemic. Second, although the rankings of the normalized inward connection degree centrality index of tourism spatial before and after the COVID-19 pandemic were different, the outward connection centrality index found the role of outdoor spatial, not indoor spatial, was more important than before the COVID-19 pandemic. Third, according to the index resulting from the betweenness centrality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 influence of the tourism spatial called Daegu Arboretum was significant in tourism in Daegu Metropolitan City after the COVID-19 pandemic. Finally, the study found that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type and ranking of simultaneous visits to tourism spatial before and after the COVID-19 pandemic. Therefore, this study presents objective and specific data on tourists' tourism behavior before and after the COVID-19 pandemic and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based on changes in tourists' tourism behavior to COVID-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