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은 행복의 정향성(orientation)과 ‘뒤따라오는 것(what would come after)’이라는 시간성에 대한 사라 아메드(Sara Ahmed)의 비판을 살펴보고, 아메드가 전통적인 행복 개념을 비판하고 행복의 우연성을 긍정하기 위해 참조하면서 동시에 거리를 두고 있는 니체와 들뢰즈에게서는 어떠한 방식으로 우연성에 대한 긍정이 이야기 될 수 있는지 살펴본다. 아메드는 어떤 대상이 나에게 행복한 느낌을 준다는 인과적인 사고방식을 니체와 함께 지적하면서, 그것은 사실 습관적인 기대일 뿐이라고 말한다. 우리는 종종 행복을 주었던 어떤 것에 대해 다시금 행복을 줄 것이라고 단지 ‘기대’할 뿐이라는 것이다. 행복의 뒤따라온다는 시간성은 이렇게 결코 필연적이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사회가 부여하는 행복에 대한 특정한 이미지를 통해 ‘이렇게 저렇게 할 때 뒤따라 올 수 있다’는 약속의 형태로 자리 잡는다. 아메드는 현재라는 시간과 이러한 목표로서의 행복, 즉 미래와의 관계를 완전히 끊어내고자 한다. 우리는 우리가 희망하는 행복한 미래를 위해 무언가를 하는 것이 아니라 그저 하는 것이며, 미래는 현재와의 무관계 속에서 전적으로 우연에 내맡겨지게 된다. 그리고 이 우연성에 대한 긍정은 곧 니체와 들뢰즈의 철학을 마주하게 된다. 이 논문은 아메드와 니체, 그리고 들뢰즈의 우연성에 대한 긍정을 탐구함으로써, 행복을 통한 삶의 긍정의 방식이 아니라 삶 그 자체에 대한 긍정은 어떠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지 탐구한다.


This paper examines Sara Ahmed’s critique of the concept of happiness and it’s temporality of ‘what would come after.’ Ahmed challenges the traditional notion of happiness and highlights its contingency. This paper illustrates how the affirmation of contingency can be discussed in relation to Nietzsche and Deleuze, whom she both references and distances herself from. Like Nietzsche, Ahmed identifies the fallacy of the causal way of thinking that associates happiness with external factors. She emphasizes that the feeling of happiness is actually a habitual expectation. Often, we simply “expect” that something that has made us happy in the past will bring us happiness again. Although the temporality of happiness is not necessary, it takes the form of a promise that happiness will come after certain actions, based on a specific image of happiness promoted by society. Ahmed aims to completely sev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esent and the future, specifically the notion of happiness as a future goal. We do not act to achieve a happy future, we simply act, and the future, independent of the present, is left entirely th chance. This affirmation of contingency can also be found in Deleuze’s philosophy. By studying the affirmations of contingency of Ahmed, Nietzsche, and Deleuze, this thesis reveals how the affirmation of life itself can be achieved, rather than through the pursuits of happin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