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서평논문은 과천연구실의 집단저작 『알튀세르의 철학적 유산』이 한국의 루이 알튀세르 연구사에서 차지하는 의의를 인정함과 동시에 그 한계를 비판한다. 본 서평논문은 『알튀세르의 철학적 유산』이 알튀세르를 왜 읽어야 하는지의 질문을 제기하지 않는다는 점을 비판하는 것으로부터 출발해, 알튀세르의 철학적 유산을 둘러싼 세 가지 쟁점, 즉 알튀세르 사상의 진화에서 이데올로기라는 철학적 주제의 점진적 특권화, ‘위기의 저작들’ 시기 알튀세르에게서의 철학의 변형과 토픽적 과학 간 결합, 말년의 알튀세르의 우발성의 유물론과 에티엔 발리바르의 두 개의 토대론, 이 세 가지 쟁점을 중심으로 『알튀세르의 철학적 유산』을 평가한다. 이 세 가지 쟁점에 대한 『알튀세르의 철학적 유산』의 이론적 입장을 검토함으로써 본 서평논문은 과천연구실이 알튀세르의, 더 나아가서는 발리바르의 사상적 진화의 정향인 마르크스주의의 탈구축과 포스트-마르크스주의의 재구축이라는 유의미한 과업을 온전히 수용하지 못하는 한계를 지닌다는 점을 밝힌다.


This book review article recognizes the importance of The Philosophical Legacies of Louis Althusser, a group work of the laboratory Gwa-Cheon, in the history of studies of Louis Althusser in South Korea, and at the same time criticizes its limits. This article, starting from the fact that The Philosophical Legacies of Louis Althusser does not ask a question about the reason why we must read Althusser today, examines three issues for the philosophical legacies of Althusser. That is, the progressive privileging of the philosophical theme of the ideology in the evolution of the althusserian philosophy, the combination between the transformation of the philosophy and the science à topique in the Althusser of the “works of the crisis”, and the materialism of the encounter of the late Althusser or the theory of two bases of Étienne Balibar. By examining the theoretical position of The Philosophical Legacies of Louis Althusser about these three issues, this article clarifies the point that the laboratory Gwa-Cheon has a theoretical limit that it cannot fully accept the meaning of the theorizations of Althusser and Balibar, that is, the deconstruction of the marxism and the reconstruction of the post-marxis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