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최근 전례 없는 사회적, 환경적 변화로 인해 인류의 지속 불가능성을 우려하는 비판적 담론이 전세계적으로 널리 확산되고 있다. 세계 교육계는 현대 인류의 당면 과제를 해결할 효율적 수단으로서 학교교육의 역할을 강조하고, 사회적·환경적 ‘지속가능성’이라는 개념을 자국의 학교 교육과정 개정의 핵심 의제로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인류의 실존에 대한 관심을 학교교육의본질로 간주함으로써 국제적으로 주목받고 있는 Gert Biesta의 세계중심 교육이론(World-centred Education)에 대한 검토를 통해, 실존적 위기의 시대에 적합한 학교지리교육의 새 방향성을 탐색하는 데 목적을 둔다. 특히, 세계중심 교육이론의 핵심 아이디어인주체화 교육 개념을 차용하여, 필자는 새로운 학교지리는 세 가지 차원 즉, ‘지리적 주체되기의 공간으로서 학교지리’, ‘풍성한 지리지식론’ 그리고, ‘중단의 페다고지’ 측면의 재개념화가 필요함을 주장한다. 끝으로, 본 연구는 도시 개념을 사례로 한 대안적 지리교육과정 설계 방식을 제안함으로써, 이론적 논의를 넘어 세계중심 학교지리의 구체화를 시도한다.


For the last two decades, due to the unprecedented social and environmental changes, there have been growing concerns about human unsustainability of the future in the world. While emphasizing school education as an efficient means to the challenges which human beings encounter nowadays, educational authorities worldwide have started to consider the notion of social and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as a main agenda for their national curriculum reform policies.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meaning and the orientation of school geography for an era of human existential crisis, presupposing human existential concerns as a nature of education by referring to Gert Biesta’s World-centred Education (WCE) theory. Particularly, by focusing on the ideas of subjectification and its quality in the WCE, this paper argues the need to reconceptualize school geography in a new three dimensions: geographical subjectification, rich knowledge, and the pedagogy of interruption. This study suggests a reified world-centered school geography beyond the theoretical conceptualization by providing a concrete example of urban geography curriculum in schoo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