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For some years there has been an ongoing discussion in Germany about so-called “system breakers”(Systemsprenger), i.e., children who have already been discharged from several assistance programs and residential homes because, for example, they have attacked caregivers and are therefore no longer considered placeable within the regular system of child and youth welfare. In the meantime, several special programs have been established to take care of these children. One of them is PortNord in Bremen, which the author of this article evaluated together with colleagues. The service is characterized by a high staffing ratio, a principally accepting attitude for the children, and a radical orientation toward their own “subject logic”. Over the past 70 years, there have been repeated paradigm shifts in Germany's child and youth welfare. As a result, a different view of young people, their motives and their treatment has prevailed in the majority of cases. Now the question is: Does the debate about “system breakers” and the new services establish a new paradigm in youth welfare? There are indeed reasons to assume they do, but also reasons that speak against this: One important aspect is that facilities like PortNord, as a “last resort” of child and youth welfare, enable the regular system to “continue as ever” without bringing any changes for the system as a whole.


몇 년 동안 독일에서 "시스템충돌자", 즉 이미 여러 지원 프로그램과 주거 시설에서 퇴원한 아동에 대한 논의가 진행 되어 왔다. 그들이 돌봄제공자를 공격하는 사례가 있어 더 이상 아동 및 청소년 복지를 위한 정규 시스템 내에서 배치될 수 없는 것으로 간주되었기 때문이다. 그동안 이러한 아동들을 돌보기 위한 몇 가지 특별한 프로그램들이 마련되었는데, 그 중 하나가 이 글의 저자가 동료들과 함께 평가한 브레멘의 북쪽 항구(포트 로드) 프로젝트이다. 이 서비스는 아동대비 직원 비율이 높으며, 아동에 대해 주로 수용적인 태도를 보이며, 그들 스스로의 "주체 논리"에 대한 근본적인 지향이 특징이다. 지난 70년 동안 독일의 아동·청소년복지는 패러다임의 변화를 거듭해왔다. 그 결과 아동과 청소년의 지원과 처우에 대한 다른 의견이 대다수의 경우에 주류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문제는 '시스템 충돌자'와 새로운 서비스에 대한 논쟁이 아동·청소년 복지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정립될 수 있는가에 있다. 새로운 패러다임이 정립될 것이라고 추정할 수 있는 확실한 근거도 있지만, 그만큼 반대하는 이유 또한 있다. 북쪽 항구 프로젝트와 같은 시설이 아동·청소년 복지의 ‘마지막 (긍정적인) 수단’으로서 시스템 전체에 어떠한 변화 없이 일정한 체계가 지속적으로 계속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지는 중요하게 고려할 하나의 측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