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역대기의 에브라임 족보는 정착 과정에서 일어난 에피소드를 계보와 결합하는 고유한 방식과 지파의 영토 경계를 기록하는 특징이 두드러진다. 본 연구는 역대기의 에브라임 지파의 족보에 나타난 독특한 정착 전승과 지리적인 언급에 집중하여 족보와 지리의 관계를 규명하는 방법을 통해 에브라임 족보와 정착 전승의 의미를 찾아보고자 했다. 에브라임 족보에서 첫 번째로 나타난 가드 침탈 사건(대상 7:21b-23)은 고립되고 척박한 에브라임 산지의 지역성으로 인해 서쪽 지역으로 접근로를 확보하기 위한 첫 시도로 보았다. 이 사건은 베냐민 지파의 가드 정복(대상 8:13)과 서쪽 해안지역의 성공적인 정착(대상 8:12)과 연계되어 포로귀환 후 서쪽으로 확장한 페르시아 시대 예후드의 영토 현실을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했다. 두 번째는 세에라라는 여성 건축가의 활동(대상 7:24)에서 그녀가 건축한 벧호론 도시들은 에브라임 산지의 동서 횡단도로의 핵심지역으로서 에브라임 지파에 의해 완전하게 점유된 의미가 있다. 벧호론 지역이 여호수아의 기업과 아얄론 골짜기와 연결된다는 점은 에브라임 지파의 성공적인 정착과 승리를 상기시킨다. 두 지파의 영토 목록(대상 7:28-29)에 대한 분석은 그것의 출처로 알려진 여호수아서와 사사기 본문과 비교해 볼 때 에브라임 지파의 영토 범위가 더 확장되었으며 <아후자>와 <베노트> 같은 용어들은 에브라임의 영토가 더 주의 깊게 다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므낫세 영토 경계는 가나안 주민들의 미정복 성읍들을 완전하게 정복한 이후 므낫세의 북쪽 경계선으로 새롭게 해석되었다. 역대기 기자는 페르시아 시대 예후드의 영토 범위를 가능한 한 넓히고 북부 지역을 포함하는 ‘온 이스라엘 땅’을제시하고자 했는지 모른다. 영토에 대한 이념적 차원은 그곳에 살고 있는 사람들에 대한 포용적인 태도와 관계있는 것으로 보았다. 본문은 세에라를 통해 가부장적 사회에서 소외된 여성들의 문제에서부터 예루살렘 중심의 포로귀환 공동체에 의해 배제된 사마리아 공동체와 포로로 끌려가지 않고 살아온 남아있는 지역 주민들까지 그들의 다양한 소리를 듣게 해준다. 그러므로 족보와 지리의 관계에 초점을 맞춘 연구는 과거의 정착 역사를 재구성하거나 회상하는 데 있는 것이 아니라 포로귀환 공동체의 현재와 미래를 위한 구상에 있었다는 의미를 제시할 수 있었다.


The genealogy of Ephraim in 1 Chronicles stands out for its unique way of combining episodes that occurred during the settlement process with genealogy and for recording the territorial boundaries of the tribes. This study focused on the unique settlement tradition and geographical references in the genealogy of the tribe of Ephraim in I Chronicles, and tried to find the meaning of the genealogy and settlement tradition of Ephraim through a method of clar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genealogy and geography. The invasion of Gath(1 Ch 7:21b-23), which first appeared in the genealogy of Ephraim, was seen as the first attempt to secure access to the western region due to the isolated and barren mountain region of Ephraim. This event is interpreted as reflecting the reality of Yehud's territory in the Persian period, which expanded westward after returning from captivity in connection with the Benjamin tribe's conquest of Gath (1 Ch 8:13) and the successful settlement of the western coastal region (1 Ch 8:12). Second, in the activities of a female architect named Sheerah (1 Ch 7:24), the cities of Beth-Horon she built have the meaning of being completely occupied by the tribe of Ephraim as the core area of the east-west crossing road in the mountainous region of Ephraim. The fact that the Beth-Horon region is connected to Joshua's inheritance and the Ayalon Valley reminds us of the successful settlement and victory of the tribe of Ephraim. The analysis of the territorial list of the two tribes (1 Ch 7:28-29) shows that the territorial scope of the tribe of Ephraim has been expanded compared to the texts of Joshua and Judges, which are known to be sources, and terms such as <Ahuja> and <Benoth>. We could see that Ephraim's territory was being treated more carefully. The Manasseh's territory was reinterpreted as the northern borders after the complete conquest of the unconquered cities of the Canaanites. The Chronicler may have tried to expand the territorial scope of Yehud in the Persian era as much as possible and to present the “land of all Israel,” including the northern region. The ideological dimension of the territory was seen as related to the inclusive attitude towards the people living there. The text allows us to hear their various voices, from the problems of women alienated from the patriarchal society to the Samaritan community excluded by the Jerusalem-centered post-exile community and the remaining local residents who lived without being taken captive. Therefore, it was possible to suggest that studies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enealogy and geography were not in reconstructing or recalling the past settlement history, but in designing for the present and future of post-exile commun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