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1920년대의 학생운동 단체는 학생을 조직화함으로써 학생 역량을 제고시킬 뿐 아니라 학생운동을 민족운동으로 전환하는 동력으로 기능하였다. 1924년 조선학생총연합회를 기점으로 학생 사상단체로의 전환이 시도되었다. 1925년 기존의 사회주의세력과 연계된 학생사상단체가 연이어 결성되었다. 북풍회와 연계된 공학회는 사회과학을 연구하는 학생사상단체를 표방하며 농촌문화 건설 등 식민지 사회문제 해결의 실천적 목표를 제시했다. 화요회계열과 연계된 조선학생과학연구회는 사회과학의 연구 외에 ‘인간본위 교육의 실현’을 제기하였다. 이는 종래의 조선인을 중심으로, 조선인에게 맞는 교육을 하라는 조선사회의 요구를 최초로 명제화하여 총독부 당국에 요구사항으로 제시한 것이었다. 이러한 급속한 학생 조직화는 지방 소재 중등학교 학생들을 자극하여 1926년 이후 학생조직이 지방으로 확산되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1924년에 이미 각 개별 학교단위로 사회과학 연구모임의 조직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었다. 6.10만세운동은 이의 실천을 촉진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후 민족적 자각이 높아진 학생들에 의해 사회과학 연구 독서회는 전국으로 확산되었다.


In the 1920s, student movement organizations not only improved student capabilities by organizing students, but also functioned as a driving force to convert the student movement into a national movement. In 1925, student ideological organizations linked to socialist factions were formed one after another. In addition to the research of social science, the Chosun Student Science Research Association, which is linked to the ideological organization-Hwayohoe, raised the 'realization of human-based education'. This was the first proposition of Chosun society's demand for education tailored to Koreans, centering on Koreans, and presented it as a requirement to the Chosun Colonial Government General. In 1924, the necessity of organizing a social science research group at each individual school unit was already raised. The 6.10 Independence Movement served as an opportunity to promote its pract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