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은 헤겔 철학 그리고 정신분석의 관점에서 특히 후기 들뢰즈 철학을 비판적으로 고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초기 들뢰즈는 자신의 필요에 따라 정신분석을 취사선택적으로 수용했지만, 특히 가타리와의 공동 저작인 『안티 오이디푸스』 이후부터는 정신분석을 근본적이고 철저하게 비판하는 입장으로 전환한다. 이러한 입장 변화는 들뢰즈 철학과 정신분석과의 관계에 관한 문제를 우리에게 제기한다. 전기 들뢰즈와 후기 들뢰즈의 정신분석 수용의 유사점과 차이점은 무엇이며, 이러한 입장 변화가 이론적, 실천적으로 설득력 있는지 등에 관한 보다 근본적인 논의가 필요하다. 그러나 국내외의 대부분의 연구가 이러한 문제에 대해 체계적인 대답을 제시하지 않거나 대답을 회피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특히 『안티 오이디푸스』와 『천 개의 고원』을 중심으로 후기 들뢰즈의 존재론적, 철학적 입장을 비판적으로 재구성하고, 특히 정신분석 및 헤겔 철학의 맥락에서 후기 들뢰즈 이론이 갖는 이론적 실천적 문제점들에 대해 비판적으로 탐구한다. 『안티 오이디푸스』에서 들뢰즈는 정신분석을 철저히 비판하는 쪽으로 선회하고 ‘분열증’을 특권화하지만, 이는 사실 정신분석적 개념, 그리고 정신분석적으로 재해석된 스피노자의 개념을 오히려 이용하는 자기 모순에 빠진다. 그리하여 그는 『천 개의 고원』에서는 보다 철학적이고 존재론적인 비임상적 개념을 더욱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방향으로 나아간다. 본 연구는 이러한 쟁점을 재구성할 것이며, 더 나아가 들뢰즈가 물론 명시적으로 언급하지 않지만 헤겔 철학을 오히려 더욱 헤겔적으로 수용하는 경향을 보이게 되었음을 보일 것이다. 이를 통해 후기 들뢰즈, 헤겔 철학, 정신분석의 관계를 비판적으로 재구성할 것이며, 끝으로 포스트마르크스주의의 길을 열었던 후기 들뢰즈 철학이 갖고 있는 정치철학적 난점에 대해 비판적으로 고찰할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critically the philosophy of later Deleuze from a viewpoint of the philosophy of Hegel and the psychoanalysis. Although earlier Deleuze accepted the psychoanalysis in accordance with his need in the arbitrary way. However, especially from Anti-Oedipus on he changed his position and began to criticize the psychoanalysis thoroughly and harshly. But the studies on Deleuze in Korea and abroad have not tried to explain the change of the position of Deleuze and could not give the systematic answer of it. Therefore, this paper tries to examine critically the later philosophy of Deleuze, especially the ontological philosophical position of Anti-Oedipus and Thousand Plateau, and to consider more systematically the Deleuzian acceptance and criticism of psychoanalysis. Furthermore, this paper tries to show that in Thousand Plateau Deleuze accepted the philosophy of Hegel more in the Hegelian way, therefore self-contradictorily, without making known the philosophical source of Hegel and the theoretical relationship between Hegel and Deleuze himself. Lastly, this paper goes on to reconstruct critically the problems of his political philosophy that has been deduced from his ontological position and his criticism of the psychoanalysis and the philosophy of Hegel, and also tries to show what the Hegelian alternative of the political theory in the modern capitalistic societies was and will b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