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구어 말뭉치를 활용하여 한국어 담화표지 ‘좀’의 담화기능을 분석한 후, 병렬 말뭉치를 구축하여 담화기능별 중국어 대응 표현 및 그 특징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선행 연구 및 실제 말뭉치 용례를 토대로 이 연구에서는 ‘좀’의 담화기능을 ‘공손, 강조, 주장 약화, 시간 벌기, 생략하기’로 분류하여 각 기능을 살펴본 후, 기능별로 ‘좀’과 함께 공기되는 문법·어휘 표현들을 고찰하였다. 전반적인 연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들을 얻을 수 있었다. 구어 말뭉치에 나타난 ‘좀’의 담화기능 출현 빈도는 ‘강조 > 주장 약화 > 공손 > 시간 벌기 > 생략하기’의 순으로 많이 나타났고 한·중 병렬 말뭉치를 통해 살펴본 빈도는 ‘강조 > 주장 약화 > 공손 > 생략하기 > 시간 벌기’의 순으로 나타나 ‘강조’ 기능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또한 소규모 한·중 병렬 말뭉치를 구축한 후 ‘좀’의 중국어 대응 표현들을 살펴본 결과, ‘一点, 点(点儿), 有点(有点儿), (一)些,有些,稍,稍微,一下’등과 대응된다. 그 외에 기능별로 중국어 대응 표현의 생략 특징, 생략 또는 대응 표현 추가 시 의미 변화 여부, 문장 부호 특징 및 기타 특징들을 고찰하기도 하였다. 이 연구가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한국어 담화표지 ‘좀’의 담화기능 이해 및 사용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scourse function of the Korean discourse marker "jom(좀)" using spoken corpus and parallel corpus; while also examining the Chinese corresponding expressions for each discourse function. During the course of the study, the following results were found. In the spoken corpus, the frequency of the discourse function of "jom(좀)" appeared in the order of "focus > utterance mitigation > politeness > delay > omission" while for parallel corpus, "jom(좀)" appeared in the order of "focus > utterance mitigation > politeness > omission > delay". Additionally, the Chinese corresponding expressions of "jom(좀)" such as “yidian(一点),dian/dianr(点/点儿),youdian/youdianr(有点/有点儿),yixie(一些),youxie(有些),shao(稍),shaowei(稍微),yixia(一下)”were identified as well as various other corresponding characteristic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serve as basic data for Chinese Korean learners to help them better understand the Korean discourse marker "jom(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