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This paper analyzes ‘feminism’ and ‘페미니즘’ on Twitter as social media in English and in Korean to discover spectral differences in two cultural societies utilizing N-gram analysis of texts, i.e. in unigrams, bigrams and trigrams. There are limited studies done questioning the two keywords on social media platforms, thus this study will stress its precedence in a quantitative way. From the experimental findings in this study, the English and the Korean data’s most frequent bigrams and trigrams in general show the use of the word feminism with varied contexts. As for comparative results, the English bigrams have ‘intersectional, feminism’ and ‘white, feminism’ which have been popularized in the West and it is interpreted as multi-factional rather than gender-polarizational, but in the Korean bigrams, which top bigrams are ‘여성, 페미니즘’ (women, feminism) and ‘래디컬, 페미니즘’ (radical, feminism), are interepreted as bi-polarizational and gender-polarizational. The English trigrams have ‘saudi, arabia, feminism’ and ‘like, rule, feminism’ displaying more or less big social movements in society, but the Korean trigrams ‘정리, 뉴스, 페미니즘’ (adjustment, news, feminism) and ‘오빠, 허락, 페미니즘’ (male friend, permission, feminism), display specific events in society and still centered in gender-polarization.


이 논문은 소셜미디어인 트위터에서 영어 ‘feminism’과 한국어 ‘페미니즘’의 사용을 N-gram 분석으로 비교함으로써 두 문화 사회의 공통점과 다층적 차이를 찾아서 제시한다. 소셜미디어 상에서 두 키워드가 드러내는 언어 문화적 비교에 대한 연구가 드물고 특히 이에 대한 양적 연구가 없다는 점에서 이 연구는 선행성이 있다. bigram 및 trigram 빈도는 페미니즘의 다양한 문맥적 쓰임을 보여준다. 특히 비교 분석 결과로서, 영어의 고빈도 bigrams으로는 인종에 관련된 ‘white feminism’, 성별 그 자체보다는 인종이나 사회 집단의 다차원적 문제를 표현한 ‘intersectional feminism’이 두드러지지만, 한국어 고빈도 bigrams으로는 ‘여성, 페미니즘’, ‘래디컬, 페미니즘’이라는 성별의 극성 표현이 두드러진다 할 수 있다. trigrams으로는 영어 트위터에는 ‘saudi arabia feminism’, ‘like rule feminism’과 같이 사회 운동과 관련되어 있지만, 한국어 트위터에는 ‘정리, 뉴스, 페미니즘’, ‘오빠, 허락, 페미니즘’과 같은 특정 사건과 관련한 이슈를 표현하면서도 여전히 성별 극성을 드러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