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미시적 관점으로 현대 한국어에서 나타난 인칭대명사의 특징, 텍스트 분포 및 특성이 무엇인지를 고찰하는 목적에서 시작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10개 범주의 텍스트 유형을 각각 구어와 문어로 분류하여 구축한 새연세말뭉치(4)를 연구 자료로 선정하였다. 그 결과, 인칭대명사는 주로 구어에 집중되었으며 구어와 문어의 분포는 모두 1인칭, 3인칭, 2인칭 순으로 나타났다. 인칭 유형에 따른 구어와 문어의 양상과 어휘 분포를 살펴보니 서로 다른 결과가 보였다. 텍스트 유형별로 장르 분포를 살펴보니 전체 장르에서 가장 많이 분포된 것은 사적대화이고 가장 적게 분포된 것이 신문 장르였다. 또한 추출된 인칭대명사의 분포를 보면 구어에서 공적독백, 문어에서는 준구어 장르에 골고루 사용되었다. 선행연구와 비교한 결과, 분포 양상이 비슷하여 한국어 인칭대명사의 일반적 특징을 보아낼 수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Korean personal pronouns the distribution and characteristics of text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personal pronouns appearing. We select personal pronouns based on the new Yonsei corpus (4) constructed by classifying 10 categories of text into spoken and written language as research data. As a result, personal pronouns were mainly concentrated in spoken languages, and the distribution of spoken and written languages was in the order of first-person pronouns, third-person pronouns, and second-person pronouns. In detail, the patterns and vocabulary distribution of spoken and written languages according to the person type were also significantly different. Looking at the genre distribution by text type corp,the most distributed in the entire genre was private conversation and the least distributed was the newspaper genre. In addition, looking at the distribution of personal pronouns extracted in spoken and written languages, they were used evenly in the public monologue in spoken languages and in the quasi-spherical genre in written languages. As a result of comparison with previous studies, the distribution patterns were almost similar, s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Korean personal pronouns could be seen.